오피니언

[동십자각/5월 31일] 도 넘은 '줄서기식 지지 선언'

6ㆍ2지방선거가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출마 후보들에 대한 특정 단체들의 네가티브식 줄서기 지지선언이 도를 지나치고 있어 풀뿌리 민주주의가 다칠까 우려된다. 정책 공약을 기준으로 지지 의사를 밝히는 단체도 있지만 대다수가 이념과 후보자와의 이해 관계를 앞세우고 있다. 특히 처음으로 정당 공천 없이 지방선거와 함께 치러지는 교육감 선거에서까지 민망스러울 정도의 세력과시와 이념 대립 현상이 벌어진다. 최근 경남도내 모 시민단체가 발표한 A교육감 후보지지 성명은 좌파 정권의 편향적 교육이 북한에 대한 경계심을 무디게 하고 환상에 젖게 했다는 내용이었다. 또 자신들과 같은 색깔을 가진 A후보가 당선돼야 한다는 이념적 호소가 정책이나 공약을 압도했다고 하니 교묘하게 법을 어기는 선거 혼탁은 도를 넘어서 유권자들에게 큰 혼란을 주고 있다. 자치단체장 선거도 마찬가지다. 최근 한 노동자 단체의 모 지역 광역단체장 지지 선언에서 지역 현안과 직접적 관계가 먼 남북관계와 4대강 사업 등만 나열했을 뿐 후보자의 구체적인 공약은 찾을 수 없었다. 또다른 지역의 기초단체장 선거에서도 후보자 지지 성명을 하면서 현 정권에 대한 네가티브만 길게 열거하고 그에 대한 반대 급부로 지지한다고 했다고 하니 특정단체들의 지지 선언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런 식의 지지 성명은 자기들 유리한 대로 해몽(解夢)한 것을 유권자들에게 퍼뜨려 지역발전을 위한 정책 대결을 희석하는 행위다. 행위의 옳고 그름을 알면서도 모른 척 해보는 것은 명백한 범법이다. 지금이라도 후보들과 이들 단체들은 유권자들이 혐오의 눈초리로 내다보고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공약의 현실성과 후보자 됨됨이를 제대로 뜯어보고 깨끗한 한 표를 행사하는 게 민주국민으로서 의무이자 권리인 것은 삼척동자도 알고 있다. 어느 단체든 세력을 앞세우고 유권자들의 판단에 혼란을 주는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 이번 지방선거는 앞으로 4년 동안 지역 살림과 교육을 책임질 수장을 뽑는 큰 행사다. 우리 국민들은 자격 미달자가 지방행정을 끌고 가면 그 피해가 주민들에게 고스란히 돌아온다는 것쯤은 잘 알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