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핫머니 700억弗 '엑소더스'

中정부 뾰족한 대책 없어 일부선 수천억달러 추정도

그동안 중국 금융시장은 전세계 헤지펀드들에는 ‘기회의 땅’이었다. 지난해 위앤화 절상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면서 환차익을 기대한 투기성 핫머니들이 꾸준히 유입돼왔다. 최근 윌스트리트저널 등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자본수지 흑자규모는 1,107억달러로 전년 대비 2배나 증가했다. 중국 외환관리국(SAFE)의 분석에 따르면 이 가운데 중국이 유치한 610억달러의 외국인직접투자(FDI), 197억달러의 주식순매입을 제외한 나머지 270억달러가 투기성 자본으로 꼽힌다. 그러나 암시장 등을 통해 유입된 달러까지 포함하면 투기자금은 이보다 2~3배에 이르는 400억~700억달러로 추산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수천억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추정도 나온다. 중국당국도 국내로 유입되는 투기자금이 위험한 상황이라며 잇따라 경고성 발언을 하지만 뾰족한 대책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고용수 한국은행 아주경제팀장은 “핫머니들의 공격이 예상되면서 위앤화 절상이 전격 이뤄질 수 있다”고 관측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달러약세와 위앤화 절상에 대한 기대로 내국인들도 달러 대신 위앤화를 선호하는 분위기다. 외국계 기업의 직원들로부터 급여를 위앤화로 바꿔달라는 요구마저 나오는 실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