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셀트리온플루항체신약 CT-P27, 중국 조류독감에 효과 확인

미국 BARDA도 상당한 관심, 재난대비 약제 선정 가능성

셀트리온은 19일 개발중인 종합 인플루엔자 항체치료제 CT-P27이 최근 중국에서 유행하고 있는 신형 H7N9형 조류인플루엔자(AI)에도 뛰어난 억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CT-P27은 바이러스가 세포 내에 침입할 때 쓰이는 표면단백질인 혈구응집소에 결합,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킴으로써 바이러스가 세포 내로 침투해 분화하는 것을 막아주는 치료제다. 현재 영국에서 임상1상을 진행하고 있다. 이 치료제는 과거 발생한 모든 대유행 인플루엔자에 효과를 보여 종합 독감치료제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번에 최근 변이를 일으킨 중국 조류독감에도 효과를 보임에 따라 앞으로 발생할 변이에도 작용하는 획기적인 인플루엔자 치료제로 개발될 가능성을 높였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셀트리온은 중국 군사의학과학원 산하병원미생물안전국가중점연구실과 공동연구협약에 따라 CT-P27에 대한 세포기반 효능시험을 진행한 결과, 매우 적은 양 (IC50)으로도 H7N9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CT-P27은 중국 환자로부터 분리한 2개의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해 IC50이 각각 2.38, 3.55 정도로 강력한 치료효과가 입증됐다. IC50은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지표로 50%의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데 필요한 항체 농도이며 숫자가 작을수록 효과가 크다는 의미다.

관련기사



이번 시험은 생체시험 이전에 CT-P27이 생체 내에서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을 억제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시험으로, 이 결과를 바탕으로 셀트리온은 중국 국가중점연구실과 공동으로 동물실험을 비롯한 후속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번 실험결과는 중국뿐만 아니라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 생물의약품첨단연구개발국(BARDA)에서도 상당한 관심을 표명하고 있으며 셀트리온에 실험결과 공유를 요청한 상태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앞으로 후속연구결과에 따라 영국에 이어 중국에서도 인체임상을 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진행될 연구결과에 따라 미 BARDA의 재난대비프로그램 대상 약제로 선정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