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지방선거 두달앞... 달라진 '비리 풍속도'

‘조폭’지고‘토호’뜬다<br>대대적 단속에 조직폭력배 자취 감추고<br>지역유지급 인사들 뒷거래 적발 잇달아

5ㆍ31 지방선거를 앞두고 선거비리의 전형이 바뀌고 있다. 검ㆍ경의 유례없는 선거비리 단속 등으로 선거철 조직폭력배 개입이 자취를 감추는 대신 은밀한 토호(土豪) 세력들이 발호하고 있는 것. 대검의 한 관계자는 26일 “그동안 대대적인 선거사범 단속에 나서 20여명을 구속하고 130여명을 기소했으나 아직까지 조직폭력배가 개입했다고 의심할 만한 선거사범은 적발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지난 90년대 후반까지 선거철이면 어김없이 날뛰던 폭력배가 2000년 이후 선거판 개입 사례가 급격히 줄다가 이번 선거에서는 거의 모습을 감추고 있다. 반면 과거에는 좀처럼 포착되지 않았던 지방 토착세력이 발호할 기미여서 수사당국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긴밀한 공조를 통해 대대적인 단속에 나섰다. 대표적인 예로 지방에 뿌리를 두고 기업활동을 하는 지역 유지급 인사들 중 상당수가 각종 이권을 노리고 현역 지방자치단체장 및 지역의원, 유력 후보 등에게 당선지원 명목으로 금품을 지원하며 줄을 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울산에서는 지역 유지급 인사가 해당 지역 구의회 부의장과 짜고 현역 의원에게 당선 지원금으로 2,000만원을 제공했다가 들통났다. 목포에서는 군수가 뒷돈을 받았다는 음해성 문자 메시지를 기자들에게 발송한 혐의로 전 신안군 의원이 구속됐다. 검찰은 이처럼 선거비리가 조폭에서 토호 중심으로 바뀜에 따라 조직폭력ㆍ마약을 전담하는 강력부 검사보다는 정치인과 기업인간 복잡한 거래를 파헤칠 수 있는 특수부 검사를 전면에 내세워 대대적인 단속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검찰은 이들이 적극적인 압수수색 및 계좌추적을 통해 자금원과 배후인물을 심층 추적, 후보자와 연관된 지역 토착비리 단속에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최근에 단속된 선거사범 유형을 보면 금품수수가 가장 많고 당내경선 불법행위, 불법ㆍ흑색선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며 “폭력배가 선거 사범 대상에서 사라진 데는 검ㆍ경의 강력한 단속과 함께 90년대 후반 미디어 선거가 정착되면서 장외집회가 급감하고 이에 따라 폭력배 동원 필요성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