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우진, 중성자 검출기 자체 개발 성공

국내 중소기업이 원자로 핵심부품을 국산화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10년간 약 1,200억원의 수입대체효과가 있을 전망이다. 원전 계측기 전문업체인 우진은 5년간의 연구개발을 통해 원자로 핵계측기의 핵심부품인 중성자 검출기(SPND)를 자체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중성자검출기는 원자로 노심 내부의 중성자속을 직접 측정하는 핵심부품으로 원자력발전소를 비롯해 핵잠수함 등 군사용으로도 사용된다. 이에 따라 미국 국방성과 상무성에서는 수출제한 기술로 지정해 사실상 수출 및 기술이전이 금지될 지정될 만큼 개발이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져있다. 우진은 지난 2006년 4월부터 한국수력원자력과 공동으로 총 40억원을 투입해 전량 수입에 의존해오던 중성자 검출기의 실용화 연구에 착수해 최근 개발에 성공했다. 중성자 검출기는 미국 웨스팅하우스의 협력업체와 프랑스 아레바 협력업체 등 세계적으로 단 2개 업체만 생산해왔다. 원자로 핵계측기는 한국표준형 원전(OPR1000)의 경우 1기당 45개, 그리고 개선형 경수로(APR1400)의 경우 1기당 61개씩 들어가며, 통상 수명연한은 3~4년 정도로 수요가 연간 수십 억원 규모다. 이에 따라 수입대체 효과는 물론 연간 1,200억원 규모에 이르는 해외시장 공략에도 나설 수 있게 됐다. 회사관계자는 “핵계측기 핵심부품에 대한 원천기술을 확보함에 따라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이 원전기술 자립과 수출을 위해 추진하는 원자력발전기술 개발사업의 완료 시기도 한층 앞당길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는 길이 열리게 됐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