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우리지역 랜드마크] 부산

지난 7월 해운대구와 북구가 투기지역으로 지정되고 이달 초 해운대구와 수영구가 투기과열지구로 추가 지정된 데 이어 정부의 잇단 고강도 부동산 안정대책으로 과열 분위기가 차츰 가라앉고 있다. 특히 중구ㆍ동래구ㆍ연제구가 투지지역 후보지로 오르면서 시장이 술렁거리고 있다. ◇투기 위축, 실수요 위주로 재편= 투기지역이 부산 전역으로 확산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로 투자심리가 급속히 위축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해운대구와 수영구는 이번 조치로 분양권 전매를 목적으로 하는 투기 수요가 사라지고 실수요자 위주로 청약시장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투기지역과 투기과열지구로 `이중 규제`를 받는 해운대구는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심리적 압박감에 따른 수급 불균형으로 당분간 분양시장이 위축, 분양가도 대부분 700만원 대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설업체들은 분양가 상승에 따른 가격 저항을 상쇄하고 미 입주에 따른 수익성 악화를 우려, 중도금 이자후불제를 실시하는 사업장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도권 원정 투기세력까지 가세, `묻지마 투자`양상을 보였던 재건축 투자도 상승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서는 등 찬바람을 맞고 있다. 특히 그 동안 인기를 끌어온 화명주공, 만덕 주공 등 저층 재건축의 하락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주상복합, 틈새상품으로 부상= 투기과열지구 지정되지 않아 분양권 전매 규제를 받지 않는 주상복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봇물을 이룬 주상복합아파트 공급이 올해에도 이어지고 있다. 부산지역 주상복합은 지난 2001년 481세대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6,687세대로 급증했다. 올 들어서는 상반기에만 3,614세대가 분양됐고 올해 말까지 4,000여 세대가 추가로 공급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역세권과 바다 조망권을 강조한 마케팅전략으로 도심 인근인 부산진구 (4,114세대)과 바다와 가까운 해운대구(1,293세대) 등지에 공급이 집중됐다. 부산에서 주상복합에 대한 선호도는 아직 낮은 편이다. 하지만 대형 건설업체들이 가세하면서 청약열기가 뜨겁게 달아올랐다. 두산건설이 최근 좌천동에 분양한 `두산위브` 24평형은 무려 145대 1의 높은 경쟁률로 기록하기도 했다. 반면 오피스텔은 경기침체 여파로 수익률이 하락, 수요가 감소한데다 공급과잉으로 종전의 미분양 물량이 소진되는데도 어려움이 예상돼 상당기간 침체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