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내년도 정보화촉진 시행계획 요약

◎외무­본부·재외공관 정보망 구축/국방­전장·국방자원 관리 자동화/농림­농·수산물 유통정보 합리화/복지­장애인 재활 서비스 등 확대/건교­GIS용 지형도 전산화 완료정부는 3일 정보화추진회의를 열고 외무부·내무부 등 16개 부처와 국가안전기획부·한국은행 등 4개기관이 제출한 내년도 정보화촉진시행계획안을 심의, 확정했다. 각 부처별 계획안을 요약한다. ◇외무부▲통합 외교정보망 구축을 위해 외무부본부, 거점공관, 인근공관(북미 및 미주지역)간에 정보망 구축. 영사업무를 신속히 처리하기 위해 영사 민원업무시스템을 구축. ◇내무부▲지역종합정보센터를 부산·대전·경북·경남 등 4개 광역자치단체는 지자체와 민간이 공동참여하는 제3섹터방식으로, 시·군·구별 10개 기초자치단체에는 시·군전산실을 중심으로 설립. ◇국방부▲전장관리시스템을 자동화하고 국방자원정보의 통합관리, 전자정보 교환 및 전자거래 실현을 위한 예산·군수·조달·인력·시설 등 기능별 자원관리체계 설계 및 소프트웨어(SW) 개발. 국방정보통신망의 초고속화를 위해 부대간 국방전산통신망 구축. ◇교육부▲초등학교 4∼6년, 중·고 전학년 전자교과서 및 교육용 SW 개발 및 보급. 정보기술활용 교육강화를 위해 정보교육담당 교원을 전체 교원의 25%수준으로 양성. ◇정통부▲98년에 이동통신, 초고속정보통신망 등 차세대핵심기술을 중점개발. 기존 대학 및 대학원과 실업계 고교, 각종 직업훈련기관의 정보통신기술교육을 지원. 정보통신 창업투자조합을 결성, 중소기업에 대한 창업자금 공급을 확대하고 SW업체에 대한 자금공여와 보증사업을 담당하는 SW공제사업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자금을 확대. ◇농림부 ▲농업통계사무소를 지역 농업정보의 거점으로 육성. 농수산물, 임산물 유통정보시스템 및 공영도매시장 정보시스템을 구축해 농림수산 유통체계 합리화사업을 추진. 농수산물 무역자동화를 위한 전자문서교환(EDI)시스템을 시범 운영. ◇통산부 ▲무역협회·산업기술정보원·특허기술정보센터 등 DB 보유기관을 주요 정보제공자(IP)로 육성. 업종별 광속상거래·전자상거래(CALS/EC) 표준화 및 근거법률 제정을 추진. 특허기술정보센터에 상표, 심판정보검색시스템 등을 구축, 인터넷을 통해 특허정보를 제공하고 중소기업청을 중심으로 중소기업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 ◇환경부▲유해화학물질에 관한 정보를 통합관리해 인터넷을 통해 관련기관과 전문가, 일반인에게 제공. 환경분야 연구논문 및 기술정보를 DB화해 환경연구정보시스템을 개발. ◇복지부▲생활보호 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장애인 재활정보, 아동보육 종합정보서비스 등 사회복지 정보서비스사업을 추진. 식품, 의약품 및 의료용구의 안정성, 유효성 및 유통에 관한 DB를 구축하고 국립암센터의 정보화를 추진. ◇노동부▲고용정보 종합서비스망을 구축하고 장애인 고용정보시스템을 확충. 산업재해 예방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산재의료관리원의 진료관리, 원무관리 전산화, 진료비 심사청구업무를 자동화. ◇건교부▲수도권에 설치할 지능형교통정보시스템을 실시설계. 국가지리정보정보체계를 위한 지형도의 전산화사업을 완료. 자동차검사업시스템을 전국에 확산하고 자동차종합정보망을 구축. ◇과기처▲기존 연구전산망을 98년까지 45Mbps∼1백55Mbps로 증속. 원격 공동연구 및 실험시스템을 개발하고 과학기술 원문자료 검색·이용을 위한 전자도서관을 구축.<이재권>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