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MB정부 공기업도 "인물난"

KOTRA·주택금융공사 사장 적임자 못찾아 재공모키로<br>여타 주요 공사 사장등도 선임 지연 가능성 커<br>현정부 실세에 보직 노린 줄대기등 잡음도 우려

공공기관장에 대한 대폭적인 물갈이가 예고된 가운데 최고경영자 선임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일부 기관에서 적임자를 찾지 못해 재공모에 들어가는 등 인물난이 현실화되고 있다. 현 정부는 관료 출신보다 민간전문가를 선호하고 있지만 제대로 자격을 갖춘 적임자가 드물고 이전 정부에서 주요 보직을 맡았거나 내부인물 위주로 후보군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기관장 자리를 꿰차기 위해 현 정부 실세에 줄을 대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어 인선 지연은 물론 여러 가지 잡음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15일 관련 기관에 따르면 사장 선임 절차를 밟았던 KOTRA에 이어 한국주택금융공사도 재공모에 들어가게 됐다. 금융위원회는 주택금융공사 임원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가 추천한 세 명의 인사들을 심사한 결과 적임자가 없다고 판단해 재공모하도록 했다. 임추위는 당초 정재호 전 LG경영개발원 부사장과 고영선 전 대한생명 사장, 최창호 전 주택금융공사 부사장 등을 추천했었다. KOTRA도 마찬가지다. 임추위는 당초 KOTRA 출신인 권오남씨를 비롯해 KOTRA 부사장을 지낸 한준우씨, 김주남 북미본부장 등 전ㆍ현직 임원 세 명을 후보로 추천했지만 관할 부처인 지식경제부는 적임자가 아니라고 판단, 재공모 결정을 내려 조만간 재공모 절차를 진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처럼 새 정부 들어 처음으로 진행된 공공기관의 사장 선임이 재공모로까지 간 것을 놓고 해석이 분분하다. KOTRA 사장의 재공모에 대해 정부 부처의 한 관계자는 “KOTRA 출신도 관료로 보는 게 정부의 시각”이라고 말했다. ‘관료 출신’이 원인인 셈이다. 주택금융공사의 경우 후보들의 전문성이나 경영 마인드에 대해 부정적인 판단이 내려졌다는 후문이다. 이들 두 기관이 재공모 절차에 들어가면서 앞으로 줄줄이 이어질 공기업의 수장 선임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줄대기 움직임이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는데다 관료 배제, 강부자 내각의 이미지를 벗을 정도의 높은 도덕성 등 몇 가지 원칙을 적용할 경우 마땅한 인물을 찾기 힘들 것이라는 게 이유다. 여기에다 신임 공공기관장의 경우 기본 연봉이 차관급(1억800만원) 기준으로 대폭 깎인다는 점도 민간전문가 영입에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높다. 또 기관장 공모가 비슷한 시기에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면서 인물난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도 있다. 지경부만 하더라도 18명의 기관장에 대한 공모작업을 다음주부터 진행한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부처별로 대표적 공기업인 한국전력ㆍ산업은행 등은 현 정부의 코드나 정책에 가장 부합한 인사를 선임하지 않겠느냐”며 “한꺼번에 20여명의 기관장을 공모하는데다 배제 조건도 많아 적정 인물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