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흥진의 할리우드통신] 개봉 반세기 맞은 히치콕의 '사이코'

공포영화의 모든 금기 깬 명작


서스펜스 스릴러 장르의 분수령이 된 알프레드 히치콕의 '사이코'(1960)가 올해로 개봉 반세기를 맞았다. 이 영화는 '환상', '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등과 함께 히치콕의 절정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공포영화에 대한 과거의 모든 금기사항과 함께 이 장르에 대한 관객 인식을 완전히 바꿔 놓은 명작이다.


히치콕은 늘 관객의 기대감을 조작하고 희롱하기를 즐겼는데 이 영화는 그의 이런 특성이 잔인하고 어두우며 냉정하게 표출된 대표작이다. 그 좋은 예가 여 주인공 매리온(쟈넷 리)을 영화 중간쯤에서 가차 없이 살해해 없애버린 것. 매리온이 살해되는 샤워 장면은 할리우드 사상 전무후무한 쇼킹한 것이다.

관련기사



히치콕은 40초간 진행되는 이 장면을 찍는데 일주일이 걸렸는데 매리온이 난자 당해 흘리는 피의 참혹함과 잔인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영화를 흑백으로 찍었다. 배우 쟈넷 리는 이 영화 후 평생을 샤워장에 들어가지 못했다고 한다.

샤워 장면이 보는 사람의 모골을 송연케 하는데 결정적 기여를 한 것은 히치콕의 명 콤비였던 버나드 허만이 작곡한 음악 때문이다. 허만은 바이올린으로 불협화음을 내는 최소한의 음악을 통해 칼질과 매리온의 비명 리듬을 동시에 불러내면서 청각을 비롯한 관객의 전 감각을 유린하고 있다. 히치콕은 원래 이 장면을 음악 없이 처리하려고 했다가 허만의 음악을 듣고 마음을 바꿨다고 한다.

샤워 장면은 그 후에 만들어진 모든 '슬래셔 무비'(난도질해 살인하는 영화)의 효시 역할을 하게 되는데 히치콕이 매리온을 일찌감치 없앤 것은 금발미녀에 대한 그의 선망과 질투의 발로라는 해석이 있다. 단구에 두 턱을 한 뚱보였던 히치콕은 자신의 영화에서 유난히 금발 미녀들을 학대하면서 쾌감을 즐겼다. 리를 비롯해 그레이스 켈리('다이얼 M을 돌려라')와 티피 헤드렌('새'), 킴 노박('환상') 및 에바 마리 세인트('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등 여러 명의 눈 부신 금발미녀들이 죽을 고생을 한다. 이들 모두 히치콕에게는 화중지병의 존재였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