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특파원 칼럼/6월 18일] 미국 대선의 경제적 함수관계

지난 48년간 미국 정치사에서 민주ㆍ공화당 간의 정권교체는 다섯 차례 있었다. 멀리는 존 F 케네디 민주당 후보가 지난 1960년 대선에서 부통령인 리처드 닉슨 공화당 후보를 누르고 정권교체를 단행했고 가까이는 공화당 조지 W 부시 후보가 2000년 대선에서 앨 고어 민주당 후보를 꺾으며 8년간의 민주당 집권에 마침표를 찍었다. 정권교체 원인에 대해 여러 가지로 설명할 수 있으나 흥미로운 것은 집권 말기의 경제 성적표가 초기보다 나쁘면 예외 없이 정권교체가 이뤄졌다는 점이다. 1차 오일쇼크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공화당 닉슨 행정부는 1976년 제임스 카터 민주당 후보에 정권을 내줬고, 카터 행정부는 2차 오일쇼크에 휘청대면서 1980년 대선에서 로널드 레이건 공화당 후보에 패했다. 레이건 행정부를 이어받은 조지 부시 대통령은 ‘바보야 문제는 경제란 말야’라는 기치를 내건 빌 클린턴 민주당 후보에 힘 한번 쓰지 못한 채 1992년 대선에서 참패했다. 반면 2001년 집권한 조지 W 부시 현 대통령은 집권 4년차인 2004년에 4.2%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그해 재선에 성공했다. 부시 대통령이 취임한 2001년 0.8% 성장에 그친 미국 경제는 부시 행정부의 과감한 감세 정책과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저금리 정책 등에 힘입어 레이건 행정부시절 못지않은 호황을 누렸다. 경제 성적표가 행정부의 경제 정책에 따라 좌우된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따르지만 미 유권자들은 경제난의 책임을 집권 정부에 더 묻고 싶어하는 것은 분명해보인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오는 11월 대선에서는 정권교체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부시 2기 행정부의 경제성적은 해를 거듭할수록 나빠지고 있다. 1년차인 2005년에 3.1%를 기록한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2006년 2.9%, 2007년 2.2%로 내려간 데 이어 올해는 1%안팎으로 추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각종 여론 조사는 하나 같이 경제문제를 11월 대선의 최대 쟁점으로 꼽고 있으며, 버락 오마바 민주당 후보는 존 매케인 공화당 후보의 지지도를 앞서고 있다. 천신만고 끝에 대선 후보를 확정한 민주당은 8년 만의 정권교체를 ‘떼어놓은 당상’이라는 듯 기대에 부풀어 있다. 흑백 간 인종 대결, 25살의 나이차이, 백전노장과 정치신인의 대결만으로도 흥미진진한 관전거리를 제공하는 11월 미 대선은 경제 통계와 대선 결과의 비례 관계가 4년 더 이어지질 지 아니면 드디어 예외가 생길지도 또 다른 관전 포인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