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골프119] 골프는 창조의 경기

[골프119] 골프는 창조의 경기싱글 되려면 고정관념 버려라 싱글골퍼와 보통의 아마추어 골퍼에게는 많은 차이가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보통 아마추어는 라운드가 끝나면 잘 맞은 샷만 생각하고, 싱글은 미스 샷만 생각하는 것이다. 또 하나는 보통 아마추어 골퍼는 평소 습관대로 클럽을 선택하지만 싱글이나 프로골퍼는 상황에 따라 클럽이나 샷 구사 법을 다양하게 변화시킨다. 그린주변까지 잘 왔는데 그린 바로 앞에 큰 벙커가 가로 놓인 경우 게다가 업친데 덮친 격으로 벙커 턱을 넘자마자 핀이 있는 경우 대부분의 골퍼들이 당황한다. 이때 보통의 아마추어 골퍼라면 대부분 로브웨지를 꺼내 든다. 장애물을 의식해 볼을 높이 띄워 올리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볼을 띄우려는 생각만하며 클럽을 최대한 오픈시키다가 생크를 내거나 뒤땅을 치고, 혹은 클럽을 너무 많이 오픈시키는 바람에 잘 떠오르기는 했지만 얼마 날아가지 않고 그대로 떨어져 볼이 벙커에 박히는 경우도 많다. 이렇게 되는 가장 큰 원인은 아마추어 골퍼들이 굿 샷에 대해 너무 집착하기 때문이다. TV에서 타이거 우즈가 벙커 바로 뒤에서, 혹은 러프에서 멋지게 로브 샷을 날려 핀 바로 앞에 볼을 맘춰 세웠던 그 장면을 떠올리며 「나도 한번」을 주문처럼 외는 것이다. 그러나 모두가 타이거 우즈가 될 수는 없는 일이다. 더구나 평소 연습장에서 로브 샷 연습을 제대로 해 본 경험이 없는 아마추어 골퍼들이 실전에서 이를 해낼 확률은 20%이하다. 때문에 그린 바로 앞에서 장애물을 만나는 경우 나름대로 자신있는 샷을 활용하는 상상력이 필요하다. 골프게임은 통찰력과 창조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명심하자. 샌드벙커는 아래로 깊게 파서 만든 하향 장애물이다. 때문에 벙커 위쪽에서 어프로치를 할 때는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는다. 굳이 볼을 높게 띄워야 할 이유가 없다는 말이다. 그런데도 볼을 띄우려고 하는 것은 앞에 놓인 장애물을 피하려면 그렇게 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있기 때문이다. 또 핀이 장애물 바로 뒤에 있기 때문에 많이 굴러가지 않게 하려고 볼을 띄우는 경우도 있지만 볼이 잔디위에 살짝 올라가있는 상태라면 몰라도 볼이 접촉된 지면이 경사져 있거나 잔디가 길어 볼이 약간이라도 잔디에 묻혀있다면 결코 쉽게 볼을 띄울 수 없다. 이런 경우 필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써서 핀에 볼을 붙인다. 볼에서 그린에지까지가 10㎙이고 그린에지에서 5㎙ 지점에 핀(홀)이 꽂혀있다면 칩샷 어프로치를 한다. 피칭웨지 혹은 9번 아이언을 선택하고 몸은 목표선을 기준으로 11시방향으로 오픈하고 페이스는 1시방향으로 오픈시킨 상태로 어드레스를 취한다. 이렇게 오픈 스탠스를 취하면 양팔의 스윙이 편해지고 클럽헤드도 쉽게 빠져나갈 수 있다. 이때 체중은 왼발에 60%정도를 실어주며 양 무릎을 약간 굽힌다. 다음은 볼을 떨어뜨릴 것을 노려본다. 그 지점은 그린에지 바로 뒤쪽이다. 그 지점까지의 거리를 감안해 평소 칩 샷때의 백스윙크기를 반복해 연습한다. 다음은 자신있게 샷하는 방법밖에 없다. 장애물을 의식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같은 위치에서 핀의 거리가 10㎙ 정도라면 똑같은 요령으로 8번 아이언을 선택하고 백 핀일 경우에는 6~5번아이언을 선택 할 때도 있다. 필자는 보기플레이 실력을 넘어서면서부터 지금까지 페어웨이 안착률, 파온 성공률, 칩샷(어프로치)후 1퍼팅 성공률, 평균퍼팅수등의 데이타를 분석해 왔다. 그 결과 풀 스윙을 하는 페어웨이 안착률이나 파온 성공률 등에는 그다지 큰 변화가 없었고, 스코어는 늘 웨지를 사용하는 숏게임에서 차이가 났다. 그린 앞에 볼이 떨어졌을때 무조건 띄워 올리려고만 할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어프로치 샷을 만들어 내는 것이 바로 싱글의 지름길이다. 김장우 GOLFSKY.COM 헤드프로, PROKPGA@GOLFSKY.COM 입력시간 2000/08/24 18:54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