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내년 수출 최대복병은 '일본'

엔低따라 중화학·전자등 고전…타이완·美뒤이어내년에 엔화약세가 우리 수출의 가장 큰 변수중 하나로 꼽히고 있는 가운데 일본이 우리와 가장 큰 경쟁관계에 있는 나라라는 분석이 제시됐다. 따라서 엔화 약세로 인한 일본제품의 가격경쟁력 향상이 우리 수출에 큰 악재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무역협회는 24일 '세계시장에서 한국의 산업별ㆍ국별 경쟁도 분석'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주요 20개 경쟁국의 공산품 수입시장 점유율 분석을 통한 경쟁도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세계시장에서 공산품 경쟁도 지수는 세계무역기구(WTO)의 지난 99년 통계를 기준으로 일본(0.151)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 타이완ㆍ미국ㆍ중국ㆍ독일등의 순이었다. 경쟁도 지수는 수입시장의 점유율 분석을 통해 국가간 경쟁 정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일본의 경쟁도 지수 0.151은 우리가 수출하는 모든 품목에서 일제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분석대상 국가들의 전체수출중 15.1%를 차지한다는 의미다. 일본과의 경쟁정도는 분석대상 20개국과 우리나라와의 평균 경쟁도 지수(0.05)의 3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산업별로는 중화학에서 일본(0.162)이 전자ㆍ자동차ㆍ석유화학ㆍ일반기계ㆍ철강등을 중심으로 우리와 가장 큰 경쟁관계에 있고 미국(0.101), 독일(0.93), 타이완(0.078), 캐나다(0.07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경공업에서는 중국(0.164), 타이완(0.163), 일본(0.111), 미국(0.066), 홍콩(0.061) 등의 순이었다. 시장별로는 미국에서는 일본이 0.183으로 가장 높았으며 멕시코(0.164), 캐나다(0.163), 중국(0.110)등 순이었고 중국에서도 일본(0.301)이 가장 높고 타이완(0.233), 미국(0.118), 홍콩(0.061)이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유럽연합(EU)에서는 독일(0.192), 미국(0.106), 프랑스(0.105), 영국(0.086) 순이었으며 일본시장에서는 미국(0.255), 중국(0.231), 타이완(0.097), 인도네시아 (0.090) 순으로 우리와 경쟁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조영주기자 [경제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