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환율·물가 미세조정 기능 강화를"

김신행 서울대교수 "이젠 시장이 오히려 정부 앞서는 시대"


“이제는 개발경제시대와는 확연히 다른 성숙경제의 시대다. 물가ㆍ환율 분야의 전문가들이 지금보다 많아져야 하고 무엇보다도 국민들의 민생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물가를 잡는 데 주력해야 한다.” 국내 대표적 개발경제학자인 김신행(사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29일 서울대에서 정년퇴임식을 마친 뒤 가진 기자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정부가 시장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시장기능에 대한 미세조정(Fine tuning)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과거 수출주도형 개방경제와 함께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과 중화학공업 투자 등 정부의 주도적인 역할을 역설해온 학자다. 그는 ‘“이제는 정부의 역할이 이전 같지도 않고 더 힘들어지는 게 사실”이라면서 “시장이 오히려 정부를 앞서는 시대”라고 정의했다. 그는 이명박 정부가 개발경제 시기처럼 경제정책을 획일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시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오히려 환율ㆍ금리ㆍ물가 부문에서 미세조정을 통해 정리하는 역할을 할 것을 주문했다. 김 교수는 이명박 정부가 제시한 그린경제에 대해 긍정적인 점수를 매기면서 ‘장기적인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녹색경제정책을 일관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면서 “자전거 사용을 확대하고 자동차 이용을 줄이는 등 장기적인 환경친화적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에너지 빈국이라는 현실을 강화해 에너지를 확보하는 문제도 중요하다”면서 “한국이 국제경제의 주요한 행위자인 만큼 국제금융ㆍ환율 등 전문가들을 꿰뚫어볼 수 있는 전문가들을 양성해야 한다”고 재차 지적했다. 김 교수는 앞으로 원로 경제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장기적인 차원에서 한국 경제에 이바지하는 방법을 찾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