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임원들 업체사람 기피증 확산

◎청문회 여파… “대출관련 오해 사기 싫다”/의사소통 애로 기업들 자금경색 호소한보청문회에 관련은행 직원들이 대거 증인으로 출석하고 박석태 전 제일은행상무가 청문회 충격으로 자살까지하자 은행임원들의 「대인기피증」 「고객공포증」이 깊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과 은행간에 원활한 의사소통이 안돼 자금흐름이 단절되는등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한 시중은행 임원은 『청문회의 여파로 요즘 은행 임원들은 기업체 사람들과 되도록 만나지 않으려고 한다』며 『꼭 접촉할 필요가 생기면 전화로 해결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 임원은 『갑자기 사람이 찾아와 만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면 반드시 실무자를 배석시키도록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최근 자금사정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진 몇몇 대기업의 경우 일절 연락을 끊고 있다』고 강조했다. 은행관계자들은 『은행 임원들이 「청문회 노이로제」에 걸려 있기 때문』이라고 입을 모았다. 여신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공연한 오해를 사지 않기 위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반면 그동안 종금사 등 제2금융권을 통해 손쉽게 자금을 조달해온 대기업들은 부도의 직접적인 계기가 2금융권의 무차별적인 채권회수 때문이라는 점을 의식, 다시 은행 문을 두드리고 있다. 그러나 청문회 정국이 전개되면서 은행 대출창구는 더욱 경색되고 있다. 대출서류가 까다로워지고 있고 여신담당직원도 딱딱하기가 이를데 없다.<이기형>

관련기사



이기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