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3차 오일쇼크 오나

국제유가 45弗육박…국내외 연구기관 경고 잇달아<br>현실화땐 1차쇼크 때보다 큰 충격

3차 오일쇼크 오나 국제유가 45弗육박…국내외 연구기관 경고 잇달아현실화땐 1차쇼크 때보다 큰 충격 • 교역조건 사상최악 전락…경제버팀목 수출 '치명타' • 국내 원유 실질재고 "겨우 60일분" • 수요 크게 느는데 잇단 '공급악재' 국제유가가 배럴당 45달러에 육박하면서 3차 오일쇼크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10일 안양 한국석유공사 유가상황실에서 공사 직원들이 국제유가 현황을 지켜보며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안양=류효진기자 국제유가가 배럴당 45달러에 육박하면서 '3차 오일쇼크'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가뜩이나 장기침체의 늪에서 허우적거리는 한국경제는 국제유가가 추가 상승할 경우 지난 74년 1차 오일쇼크 때보다 더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고유가는 세계경제를 둔화시키고 이에 따라 하반기 한국의 수출여력이 감소하면서 국내적으로는 물가앙등, 이에 따른 소비심리 저하와 소비침체 장기화를 유발, '저성장-고물가'의 스태그플레이션이 현실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9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NYMEX)에서 9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배럴당 85센트(1.9%) 오른 44.80달러로 마감돼 83년 원유 선물거래가 시작된 이래 종가 기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날 WTI 선물가격은 장중 배럴당 44.98달러까지 치솟아 50달러 문턱까지 진입했다. 독일 은행인 도이체방크의 아담 지멘스키 석유시장 전략가는 "극단적으로 산유국 두 군데서 생산차질이 빚어질 경우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까지 치솟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그러나 이 가능성은 낮고 배럴당 50달러를 넘으면 수요위축으로 더이상 상승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0일 '제3차 오일쇼크 오는가'라는 보고서에서 하반기 평균 국제유가가 두바이유 기준으로 40달러에 이르면 3차 오일쇼크가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경우 경제성장률이 1.6%포인트 감소하고 물가는 1.6%포인트 상승, 경상수지가 85억8,000만달러 악화할 것으로 예상돼 74~76년의 1차 오일쇼크 때보다 경제가 더 악화된다고 내다봤다. 김진오 에너지경제연구원 부원장은 "러시아 유코스 문제, 베네수엘라의 우고 차베스 대통령 소환투표, 중동 테러 등 악재가 겹치면서 국제유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에너지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로서는 에너지 절약과 함께 해외에너지자원 및 대체에너지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수문 기자 chsm@sed.co.kr 입력시간 : 2004-08-10 18:37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