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상생경영 발목잡는 하청비리

[기자의 눈] 상생경영 발목잡는 하청비리 민병권 기자 newsroom@sed.co.kr "워낙 현장이 많다 보니 우발적인 하청 비리가 발생한 것을 사전에 짚어내지 못했습니다. 개선책 마련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현대차 관계자) 상생경영과 품질경영을 기치로 내세우고 있는 현대차가 신년 초부터 하청 비리로 부심하고 있다. 최근 자체 감사에서 울산공장 소속 과장 1명을 포함해 직원 7명이 협력업체들로부터 약 6년간 최고 2억7,000만원대에 이르는 금품을 상납받은 사실이 적발된 것이다. 문제는 이들 직원이 소속된 부서가 차량의 안전상태와 직결되는 품질관리부라는 것. 또 비리가 6년간이나 감춰져 있다가 뒤늦게 적발됐다는 점이다. 이번처럼 피해를 당한 협력업체의 제보가 없을 경우 앞으로 또다시 하청 관련 비리가 재발되더라도 관계자들만 함구하고 있으면 수년간 모르고 지나갈 수 있다는 게 입증된 셈이다. 이에 대해 현대차는 "품질관리부 직원들이 금품을 받기는 했지만 불량부품을 눈감아준 것은 아니고 납기 지연 등을 용인해주는 수준이었다"며 "따라서 윤리경영 위반의 문제이지 품질경영에 결함을 일으킬 정도의 사안은 아니다"고 진화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품질관리부의 간부급까지 비리에 연루됐다면 이번 감사에서 구체적인 사실이 적발되지 않았더라도 부품의 품질과 관련한 문제가 발생했거나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반성하는 게 옳은 판단이 아닐까 싶다. 현대차도 이 때문에 내부적으로는 고민을 하지만 당장 뾰족한 수를 찾지 못하는 눈치다. 현대차는 자사 직원을 대상으로 철저한 윤리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조직이 2,000여개 팀에 달할 만큼 방대하다 보니 모든 현장을 모니터링하기는 어렵다는 현실 때문이다. 그러나 조직이 방대할수록 관리는 더욱 철저해져야 한다. 우발적인 비리 모두를 예방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적어도 사후에라도 이를 즉각적으로 적발해 징계할 수 있는 보고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시급하다. 현대자동차는 최근 잇따라 파격적인 디자인과 기술력의 신차를 출시하면서 국내외에서 좋은 호응을 얻고 있다. 현대차가 해외 선진국의 유명 브랜드 못지않은 브랜드로 성장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다. 이런 시기에 터진 하청 비리를 그저 일회성 해프닝으로 봐넘긴다면 어렵게 쌓고 있는 소비자들로부터의 신뢰에 금이 갈 수 있다. 기업이 재도약의 명운을 거는 승부의 순간에는 잠시의 빈틈도 그냥 넘겨서는 안된다. 한국의 대표기업 현대차가 이번 하청 비리 사건으로 한 단계 성숙한 시스템을 갖추기를 기대해본다. 입력시간 : 2006/01/13 16:28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