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시중금리 올라도 청약통장은 '제자리'

은행권 "가입자들 이자엔 무관심"…인상 소극적

시중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으나 은행들은 청약통장에 대해서는 ‘생색내기’ 수준으로 금리를 올리고 있다. 3일 금융계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들은 최근에 중소형 민영주택에 청약할 수 있는 청약부금 금리를 상향 조정했다. 신한은행은 지난 2일부터 3년 만기 청약부금 금리를 0.55%포인트 인상해 연 4.90%를 적용 중이다. 우리은행도 지난해 12월25일부터 3년 이상 청약부금 금리를 연 4.1%에서 연 4.8%로 0.7%포인트 올렸고 하나은행도 지난달 20일부터 청약부금 금리를 0.3%포인트 인상해 연 4.7%를 적용하고 있다. 은행들은 지금까지 청약부금 금리 인상을 자제해왔다. 청약통장 가입자들이 대부분 금리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데다 주택청약업무 대행 등 부대비용 때문에 수익성이 그리 높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청약주택부금 평균 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지난해 11월 말 현재 연 3.94%로 지난 2006년 말의 3.67%에 비해 0.27%포인트 올랐다. 반면 같은 기간 동안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0.94%포인트나 상승했다. 하지만 지난해 9월부터 청약가점제가 시행되면서 청약부금 신규 가입자 수가 크게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금리인상 혜택을 보는 고객들은 그리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청약부금에 비해 수요자가 많은 청약예금 금리는 제자리걸음을 지속하고 있다. 신한은행의 경우 1년 만기 청약예금 금리는 연 4.35%로 1년 동안 단 한차례도 올리지 않았다. 우리은행도 청약예금은 계속 연 4.3%의 이자를 적용 중이다. 국민은행의 경우 지난 2006년 말에 비해 0.45%포인트 인상된 연 4.0%로 1년 만기 정기예금 최고 금리(연 6.2%)에 비해 2.2%포인트나 낮은 수준이다. 하나은행은 청약예금 금리를 최근 0.3%포인트 인상해 연 4.6%를 적용 중이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청약통장 가입자들은 금리 민감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은행들이 굳이 금리를 큰 폭으로 인상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