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당청 '원구성 협상 결렬' 갈등… 해소 기미 안보인다

책임떠넘기기·불만 표출… '소통회동' 일정조차 못잡아

국회 원구성 협상결렬로 촉발된 한나라당과 청와대 간의 갈등국면이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당청 지도부는 조만간 만나 소통 및 관계개선에 나설 예정이었으나 ‘특별한 상황’ 발생으로 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 당장 청와대는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비롯해 이명박 대통령의 베이징올림픽 참관 등의 공식일정을 소화해야 하고 한나라당은 박희태 대표가 전국 민생탐방에 나서고 원내지도부는 야당을 설득하기 위한 물밑협상으로 분주하다. 특히 당 지도부가 원구성 협상결렬 뒤 그 책임을 고스란히 청와대에 떠넘기고 이에 청와대가 여당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불만을 터뜨리며 감정의 골이 깊어져 쉽사리 해결책을 찾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 흘러나오고 있다. 여권의 핵심관계자는 “당청 간 불신이 커지면 또다시 국정난맥상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공감대가 양측에 형성돼 있다”면서 “하지만 그동안 당에서 여당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야당에 끌려다니면서 주요 정책에 대해 청와대를 공격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양측의 감정의 골이 깊어 어떻게 풀어가야 할지 난감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 때문에 당청 간 소통부재 해소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여권 내부에서 나오고 있지만 해결책 마련을 위한 양측의 행보가 순탄하지 않다. 한 고위당직자는 “양측이 공식일정이 많아 날짜를 조율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 같은 당청 간 소통부재에 대해 당 안팎에서는 실무자협의 통해 청와대가 당에 양보할 수 있는 명분을 만들어 소통의 물꼬를 트는 방법이 관계를 회복하는 가장 유력한 협상카드로 꼽히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