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日 대지진 한달] 무너진 인프라가 경제 발목

<상> 일본 경제는…<br>생산거점 붕괴·물류기능 마비<br>전력-통신 장애·원전사태 지속

국가의 성장기반을 흔들어놓은 지난 3월 대지진으로 일본 경제는 당장 해결이 시급한 난제들을 떠안게 됐다.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 사태와 전력난, 생산설비 파괴 등 어느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는 사안들이 일본 경제의 정상화를 가로막는 요인들이다. 일본 주간 다이아몬드지는 최근 일본 경제활동을 가로막는 5가지 요인으로 ▦생산거점 파괴 ▦물류기능 파괴 ▦전력부족 ▦통신기능 장애 ▦지속되는 원전 사태를 꼽으면서 "지진에 따른 막대한 경제손실을 더 키우지 않기 위해서는 이들 인프라 회복을 최우선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이아몬드지에 따르면 이 가운데 그나마 빠른 속도로 복구되고 있는 부분은 물류 인프라다. 지난 한 달간 파손된 도로와 항만 복구가 진행되면서 쓰나미로 파괴됐던 센다이항에 대한 자동차 업계의 해상운송이 최근 재개됐으며 12일에는 도쿄와 센다이시를 잇는 재래선 운행이 다시 시작될 예정이다. 부품공장이 밀집됐던 이 지역의 생산설비 파괴로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제조업계에서도 정상조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도요타 자동차는 오는 18~27일 국내 15개 완성차 공장의 생산을 재개할 예정이며 닛산차도 18일부터 주요 5개 거점에서 정상조업을 개시한다고 밝혔다. 문제는 일본에 대한 국제사회의 신뢰를 앗아간 원전 사태가 아직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이아몬드지는 "인프라의 심장부라고 할 수 있는 에너지 부족과 원전 사고의 후유증은 장기적인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제한송전 사태로 대기업 공장부터 일선 소매점포까지 다방면의 경제활동이 차질을 빚는 가운데 전력난은 올해 여름 이후까지 상당 기간 지속되며 기업활동에 막대한 제약을 가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특히 원전 사태는 외국계 기업 철수, 관광객 급감, 일본산 농수산물 기피현상 등을 초래하며 일본에 대한 뿌리깊은 불신을 심어놓고 있다고 다이아몬드지는 설명했다.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