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특목고생 6명중 1명은 ‘강남’거주

서울시내 외국어고나 과학고 등 특수목적고교 학생 6명 중 1명은 강남(강남ㆍ서초ㆍ송파구) 지역에 살고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학생들의 자치구별 거주자 수가 구별로 최고 37배나 차이가 나는 등 불균형이 매우 심각했다. 2003년 서울시내 6개 외국어고교 학생 자치구별 거주현황에 따르면 학생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곳은 노원구로 전체 학생 6,832명 중 714명이 이곳에 살고 있는 것으로 15일 조사됐다. 다음은 강남구로 509명, 도봉 465명, 양천 452명, 송파 373명, 성북 322명, 서초 318명, 강서 275명, 광진 244명 순이었다. 거주자가 가장 적은 곳은 금천구로 19명이고, 중구는 37명, 관악 42명, 영등포 61명, 종로 80명, 동작 94명, 마포 96명 순이었으며 학생 수가 가장 많은 노원구와 가장 적은 금천구 간 차이는 무려 37배나 돼 자치구별 불균형이 매우 심했다. 특히 이른바 강남지역으로 불리는 강남, 서초, 송파구의 경우 전체 학생 6,832명 가운데 1,200명이 거주해 6명 가운데 1명 꼴로 강남에 주소지를 두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내에 거주하지 않으면서 특목고에 다니고 있는 학생 1,501명을 제외할 경우에는 강남 거주 학생비율은 더욱 높아져 4.5명당 1명 꼴로 학생들이 이들 자치구에 집중 거주하고 있다. 대원외고(661명)와 한영외고(420명)의 경우 강남 거주 특목고 학생의 90%가 이 두 학교에 다니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자치구간 주거환경의 차이가 특목고 진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불균형 해소를 위한 개선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석영기자 sychoi@sed.co.kr>

관련기사



최석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