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하철 스크린도어 168억 낭비"

서울시 시민감사 옴부즈맨

서울 지하철을 운영하는 서울 메트로(1~4호선)와 도시철도공사(5~8호선)가 승강장 스크린도어(PSDㆍPlatform Screen Door)를 설치하면서 사업비를 과다 계상하는 등 사실상 168억여원의 예산을 낭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 시민감사 옴부즈맨은 오는 2010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해온 스크린도어 설치 사업을 감사한 결과 이 같은 문제를 발견, 시정ㆍ개선하도록 권고했다고 21일 밝혔다. 감사결과에 따르면 서울 메트로는 스크린도어 설치 사업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1∼4호선 24개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는 대신 광고권을 주는 민자 유치 사업을 추진하면서 자체 발주한 설비 원가보다 5억여원이나 높은 가격에 계약, 99억여원을 낭비했다. 동대문역 등 다섯 곳의 스크린도어는 업체 사정으로 공사가 지연돼 5억여원이 추가로 들어갔지만 지체보상금도 부과하지 않고 묵인한 것으로 확인됐다. 도시철도공사도 사정은 비슷했다. 지난해 7호선 20개 역, 5호선 27개 역 등 47개 역의 스크린도어 설치계약을 하면서 입찰 방식을 바꿔 이전보다 64억여원 정도 더 들어간 것으로 조사됐다. 시민감사 옴부즈맨은 이에 따라 수백억원의 예산을 낭비한 관련 직원 13명을 징계하도록 하고 시공업체 등에 대한 공사지연 지체상금 징수 및 구상권 청구 대책을 강구하라고 권고했다. 신영철 시민감사 옴부즈맨은 “스크린도어 설치 사업은 설치에 필요한 재원을 업체가 부담하고 이후 그 만큼의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간 동안 광고운영권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추진돼왔다”며 “서울시나 지하철 운영기관의 예산이 투입된 것은 아니지만 업체가 광고운영권을 갖는 기간을 늘려준 결과를 불러왔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