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대기업 상생경영 확대

"확산일로 반기업정서 해소하자"<BR>22일 청와대 회동 앞두고 성과점검·보완책 마련나서

연말에 들어서면서 삼성ㆍLGㆍSKㆍ현대자동차ㆍ포스코 등 국내 대기업들이 협력업체와의 상생경영에서 보폭을 넓히고 있다. 이는 중소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대기업의 발전을 꾀하는 실리를 챙김과 동시에 최근 급속히 확산되는 반기업정서를 적극 해소하려는 노력으로 풀이된다. 특히 대기업들은 오는 22일 청와대에서 열리는 중소기업 대표들과의 회동에 앞서 다양한 상생경영 보따리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ㆍLGㆍSK 등 주요 기업들은 청와대 회동을 앞두고 각 계열사 및 그룹 상생경영 성과를 점검하는 한편 보완책 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다. 상생경영에 최근 가장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는 곳은 SK그룹. SK는 아예 그룹 차원에서 대외업체 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BR(business relations) 담당 임원회의를 정례화해 상생경영 실천의 시스템을 구축해나가고 있다. 또 최태원 SK㈜ 회장과 김창근 SK케미칼 부회장 등 그룹 최고위층이 최근 주요 협력업체 대표들과 함께 만나 ‘행복동반자 경영’ 방침을 선언하는 등 협력업체 돕기에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삼성그룹의 경우 지난 3개월여간 외유 중인 이건희 회장이 청와대 회동에 맞춰 귀국, 행사에 참석할 것으로 점쳐지는 가운데 상생경영의 계획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져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실제로 삼성그룹은 지난해에도 향후 5년간 총 1조1,000억원을 협력업체들에 지원해주겠다고 밝히는 등 국민기업으로서의 위상을 되찾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LG그룹은 상생경영의 방향을 협력업체의 성장기반 확대로 정했다. 이에 따라 협력업체와의 해외 동반진출, 공동 연구개발 등의 지원책을 더욱 확대해나간다는 방침이다. 또한 현대차는 올해 협력업체 자금 지원규모를 지난해보다 2,000억원 늘린 2조2,150억원으로 상향 조정해 집행 중이며 포스코 역시 올해 총 1조3,000억원의 중소기업 지원책을 마련해 기술이전, 금융지원, 공동 연구개발 등 다양한 활동을 펴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올 재계와 산업계는 기업경영권의 편법상속 문제와 비자금 문제 등으로 도덕성에 치명타를 입는 최악의 상황에 몰렸다”며 “이번 청와대 회동에선 대기업 총수들이 대거 참석해 반기업정서를 풀기 위한 열쇠를 마련하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