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투신 공적자금 조기투입 효과

투신 공적자금 조기투입 효과불확실성 제거 불구 자금유입 의문 금융불안의 핵심 요소였던 투신권 구조조정의 불확실성이 어느정도 제거될 전망이다. 정부가 한국투신과 대한투신에 공적자금 4조9,000억원을 다음달까지 조기 투입하기로 방침을 정했기 때문. 시장 일각에서는 『증시를 압박하던 투신악재는 이제 없다』며 투신권의 신뢰 회복을 조심스럽게 점치고 있다. 하지만 간접상품을 통한 자금유입과 기관투자가로서의 역할은 당분간 기대하기 힘들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양(兩) 투신 어떻게 되나= 공적자금 조기 투입이 3개월 가량 빨라지는 만큼 회사 건전화를 통한 신뢰회복과 상품경쟁력 제고 역시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양 투신은 우선 이달중으로 들어오는 2조원의 자금을 연계콜을 비롯한 차입금 상환에 사용할 방침이다. 나머지 자금은 고객재산을 클린화시키기 위해 부실을 떠안은 고유계정의 현금 부족분을 메꿀 것으로 보인다. 대투의 손용석 차장은 『2조1,000억원에 달하는 신탁형 상품(고유계정) 부실 부분을 보존해야 하지 않느냐』면서 『결국 회사도 건전화되고 상품 수익률도 올라 경쟁력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최병만 대투 경영본부장은 『고유계정까지 부실을 조기 청산하면 법인 중심의 자금영업이 수월할 것』이라고 말했다. ◇투신 악재 수그러들 듯= 전문가들은 투신 구조조정의 불확실성 제거로 증시를 압박하는 투신권 악재는 상당부분 수그러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기와 자금 조달 일정, 방법 등이 모두 구체화됐기 때문. 대우증권의 홍성국 투자정보부장은 『투신권 문제가 과대포장된 것은 사실』이라며 『이번 일을 계기로 투신악재가 투자심리를 가로막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부장은 특히 기존 장부가펀드와 관련, 시가평가제가 실시되는 7월 이후에도 장부가로 평가되기 때문에 막연했던 투신권의 주요 불확실성은 해소됐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와함께 25일 양사 주총 때 선임되는 신임 사장건도 투신권 구조조정의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본격적 자금 유입은 당분간 어렵다= 공적자금 조기 투입으로 투자자들의 신뢰 회복이 앞당겨지더라도 간접상품을 통한 자금유입은 당분간 쉽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대체적이다. 모 증권사 임원은 『말처럼 단기간의 신뢰회복이 쉬운 게 아니다』면서 『금융시장 안정을 바탕으로 한 투자심리 회복이 있어야 간접상품 유입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손해를 보더라도 팔고자 하는 간접상품 고객의 자금을 재유입시키는 게 관건』이라며 『당분간 대표적 기관투자가로서의 투신권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홍준석기자JSHONG@SED.CO.KR 입력시간 2000/05/23 19:52 ◀ 이전화면

관련기사



홍준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