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철도노조 파업 철회… 경제단체·시민 "늦은감 있지만 환영" 한목소리

"더 큰 피해 면하게돼 다행" 시멘트업계도 안도의 한숨

"법·원칙대로 잘잘못 가려 다시는 재발 없도록 해야"

장장 22일에 걸쳐 파업을 이어온 철도노조가 30일 파업철회를 결정하자 경제단체와 시민들은 일제히 환영의 뜻을 내비쳤다.

철도파업으로 생산에 차질이 생긴 산업계와 불편을 감수해야 했던 시민들은 파업과 관련해 법에 위배되는 사안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잘잘못을 가려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국경영자총협회의 한 관계자는 "파업철회가 결정되고 국회 소위 구성에 합의하는 등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 다행"이라면서도 "그동안 벌어진 불법파업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의 잣대로 심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무역협회 관계자도 "철도파업이 해를 넘겨 설날까지 이어질까 걱정했다"며 "앓던 이가 빠진 기분"이라고 말했다.

철도파업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업종으로 꼽히는 시멘트 업계도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시멘트협회 관계자는 "철도 수송 차질로 190억원 안팎의 피해액이 발생했는데 지금이라도 파업이 철회돼 더 큰 피해를 면하게 됐다"며 "다시는 철도파업이 되풀이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시민들 사이에서도 이날 최고의 화젯거리는 단연 철도파업 종료였다. 특히 열차를 자주 이용하는 시민들은 그동안 겪었던 불편을 덜게 돼 천만다행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매일 서울에서 오송까지 KTX를 타고 출퇴근하는 박모(45)씨는 "최근 정부부처들이 세종시로 대거 이주하면서 출퇴근 인구가 많아진데다 파업으로 운행횟수까지 줄면서 원하는 시간에 열차를 못 타기 일쑤였다"며 "열차 운영이 정상화되면 한결 수월하게 출근할 수 있을 것 같아 다행스럽다"고 반가워했다.


다음달 설 연휴를 맞아 경북 경주 고향집을 찾을 예정인 회사원 이주원(33)씨는 "철도파업으로 명절 열차가 평소의 절반 정도만 운행한다는 소식을 듣고 고민이 컸다"며 "하루빨리 파업 종료 절차가 마무리돼 한 달 뒤에는 편하게 열차를 탈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불법파업을 꾸짖는 시민들의 목소리에는 아직도 냉엄함이 서려 있었다.

서울 송파구에 사는 조한영(62)씨는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불법파업이 마무리돼서 마음이 편하고 열차를 탈 때도 안심이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조씨는 "법은 지키라고 있는 것 아니냐"고 반문하면서 "정부가 끝까지 원칙을 가지고 파업 가담자들을 법에 따라 엄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회사원 이영수(50)씨는 "대부분 시민들이 코레일의 적자경영을 인지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에서 철도부문 경쟁체제 도입은 불가피해 보이는데도 노조가 무리하게 파업을 벌여 많은 시민이 불편을 겪었다"며 "정부와 코레일, 노조가 잘 협상해 다시는 이와 같은 혼란이 벌어지지 않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장기간 파업이 이어지기까지 정부와 정치권이 제 역할을 못 했다는 비판도 이어졌다.

대전의 한 병원에서 근무하는 이순영(37)씨는 "이번 사안은 노조 차원에서 풀기에는 한계가 있었고 진작에 정치권에서 나섰어야 했다"며 "아직도 철도 민영화에 대해 우려하는 여론이 있는 만큼 정치권도 이를 고려해 현명한 결정을 내려주기 바란다"고 전했다.

시민단체들도 파업 종료를 환영했지만 후속 조치에 대해서는 시각 차이를 나타냈다.

고계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총장은 "정부나 사측이 수서발 KTX 면허발급, 파업 근로자에 대한 해고 및 징계 등의 절차를 유보해야 국회 소위원회도 사회적 합의기구로서 역할을 충분히 이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박주희 바른사회를위한시민회의 실장은 "불법파업을 주동했던 세력에 대해서는 끝까지 책임을 묻는 정부의 엄정한 의지가 필요하다"며 "경찰은 노조간부를 조속히 검거하고 코레일은 파업에 참여한 노조원에 대한 징계를 계획대로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