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물가안정이 최우선돼야"

■ ASEM 재무장관 회의<br>재무장관들 "신중한 통화정책을" 한목소리<br>물가·성장에 동시대응하는 역설적 상황맞아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ㆍ아셈) 재무장관회의를 위해 제주에 모인 각국 재무장관들의 고민은 한결같이 고(高)유가와 높은 식량 가격 등으로 야기된 고물가였다. 재무장관들은 “현재 상황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 물가안정이며 신중한 통화정책이 요구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크리스틴 라갸드 프랑스 재무장관은 16일 기자간담회에서 “유가와 곡물 가격 급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문제가 이번 재무장관회의에서 가장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다”면서 “아시아와 유럽이 물가와 성장이라는 두 가지 과제에 동시 대응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을 맞았다”고 말했다. 루카스 파파데모스 유럽중앙은행(ECB) 부총재도 “물가안정 전망이 악화됐고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이 여전하다”면서 “유로존의 올해 물가 상승률이 3%를 웃돈 후 내년부터 점진적으로 낮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책의 최우선적인 초점을 물가에 맞춰야 한다는 의견도 개진됐다. 구로다 하루히코 아시아개발은행(ADB) 총재는 “많은 나라들이 성장을 둔화시키지 않으면서도 물가상승을 컨트롤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하는 딜레마를 안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그러나 “아시아 각국이 금리를 올려 미국과의 금리차가 커지면 포트폴리오 투자가 유입되고 석유선물 가격이 상승하는 한편 경제의 하드랜딩(경착륙) 가능성도 커지지만 물가를 통제할 수 없는 것보다는 낫다”고 지적했다. 가토 다카토시 국제통화기금(IMF) 부총재도 연합뉴스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한국 정부는 물가상승과 그 기대심리를 안정시키는 데 최우선적으로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면서 “경기부양은 물가가 안정된 상태에서만 적절한 정책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