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IMF, 올해 세계성장률 전망 3.5%로 소폭 하향 조정 … “유로존 회복 지연ㆍ미국 재정절벽 위기 여전해”

한국 등 NIE국가 3.2% 성장 전망 … 중국은 8%대 고성장 유지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전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5%로 소폭 하향 조정했다.

IMF는 23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경제전망(WEO) 보고서’에서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의 회복이 늦어지고 미국의 재정절벽(정부 재정 지출의 갑작스러운 축소나 중단으로 인한 경제 충격) 위험도 여전하다고 진단하면서 올해 전세계 경제성장률을 3.5%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보고서에서 발표한 전망치(3.6%)보다 0.1%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내년 성장률도 지난번 보고서(4.2%) 때보다 0.1%포인트 내린 4.1%로 조정했다.

보고서는 “올해도 전세계 성장세는 계속되겠지만 지난해에 예상한 수준에는 못 미칠 것으로 보인다”면서 “여러 정책에 힘입어 유로존과 미국의 심각한 위험은 줄었지만 유로존의 회복이 늦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IMF는 또 “신흥경제국은 정책적인 뒷받침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다른 지역은 국내외 수요 부진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국가별로는 미국이 올해 2.0% 성장이 예상돼 지난번에 비해 0.1%포인트 낮아졌으나, 내년 전망치는 3.0%로 0.1%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일본의 올해 전망치는 지난번과 같은 1.2%였으나 내년에는 0.7%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돼 무려 0.4%포인트나 낮아졌다. 이에 대해 IMF는 “일본은 경기 후퇴 국면으로 접어들었으나 올해는 경기부양책이 단기적으로 효과를 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은 올해와 내년 각각 8.2%와 8.5%의 고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으며, 유로존은 올해 마이너스 0.2% 성장에 이어 내년에는 1.0%의 플러스 성장으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됐다.

전체적으로 올해 선진국 진영의 성장률은 1.4%, 신흥개발국 진영의 성장률은 5.5%로 지난번 보고서 때보다 각각 0.2%포인트와 0.1%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한국, 대만, 싱가포르, 홍콩 등을 포함한 이른바 아시아 신흥개발국(NIEs)의 성장률은 올해와 내년 각각 3.2%와 3.9%로, 각각 0.4%포인트와 0.2%포인트 낮아졌다.


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