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여야, 연평도 도발에 서로 다른 대응 방식

여당은 군사적, 야당은 외교적 방안 강조

여야 정치권이 북한의 연평도 도발 이후 대응의 열쇠를 서로 다르게 잡는 모습이다. 여당이 군의 대응태세 강화와 대북관 정립을 주장한 반면 야권은 6자회담 참여 등 외교적 해결을 강조했으며 4대강 예산을 줄여 국방예산에 투입해야 한다고 재차 주장했다. 한나라당은 군의 대응 태세와 국민들의 대북관에 문제제기했다. 안상수 대표는 29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한의 무차별적인 도발을 호국훈련 때문이라거나 남북관계를 악화시킨 결과라며 정부를 비난하는 건 이적행위”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 10여 년간 해이해진 군의 기강을 세우는 것이 급선무”라며 “군의 무기체계와 대응 시스템 전반에 관해 일대 쇄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 대표는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경계와 대비 태세를 강화하는 게 당장 시급하다”며 “당 차원에서 ‘국가안보시스템점검특위’의 구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홍준표 최고위원은 “안보 관계 장관과 참모만이라도 병역 면제자는 정리했으면 한다”고 주장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병역 면제된 안보 참모들을 네티즌들이 조롱하는데, 국민적 안보 불신은 이런 점에서부터 시작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은 군사적 제재 수단 확보와 외교를 통한 평화 확보의 투 트랙을 주장하며 정부ㆍ여당의 주장과 거리를 뒀다. 손학규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위의 두 가지를 제시하며 “중국이 제안한 6자회담은 후자의 견지에서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지원 원내대표도 “한반도 문제는 우리 혼자 짊어지고 가기에는 너무 버겁다”며 “미국과 일본, 중국과 러시아와 함께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정부의 6자회담 참여를 촉구했다. 한편 이날 민주당 최고위원회의는 정부와 여당의 햇볕정책 비판에 대한 방어의 장이었다. 박 원내대표는 “강경하지도 못한 강경책을 써 국민 10명 중 7명이 비판하니까 또 ‘햇볕정책이 실패했다’고 하는 건 한심할 뿐”이라고 비판했다. 정동영 최고위원은 이날 아침 전직 통일부장관과 조찬 회동 내용을 전하며 “6자회담을 발로 차는 건 어리석다”고 주장했고, 박주선 최고위원은 정부를 향해 “한반도를 왜 이렇게 이 지정학적 위치에 놓았느냐고 단군을 탓하는 것이 차라리 나을 것”이라고 힐난했다. 한편 박 원내대표는 연평도 등 서해5도 지원을 언급하며 “지원대책의 요체는 예산”이라 전제한 뒤 “급하지 않은 4대강 예산을 대폭 삭감해 국방, 민생예산으로 전환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