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 '온실가스' 범국민적 대처를

안종명 <한국철강협회 상무이사>

지구환경 보전을 위한 범세계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지구 온난화를 초래하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기후변화협약 실천 지침인 교토의정서가 지난 2월16일 발효됐다. 우리나라는 세계 9위의 온실가스 배출국이자 OECD 회원국임을 감안할 때 오는 2005년부터 시작되는 제2차 의무공약기간(‘13~‘17년) 동안 선진국의 감축의무 동참 압력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산업계는 온실가스 감축이 큰 부담이 되고 있다. 특히 철강산업은 국내 전체 에너지 소비량 중 9.3%를 차지하는 에너지 다소비 산업으로 기후변화협약과는 아주 밀접한 관계에 있어 그로 인한 영향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국가 핵심기초소재 산업으로서 철강산업은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선도적인 역할수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철강업계는 최근 철강협회와 포스코ㆍINI스틸을 비롯한 철강기업을 포함해 산학연관 등 15명으로 구성된 철강산업 대책반을 구성해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이 대책반은 국가의무 부담방식 결정시 철강산업 의견을 반영 하고 철강업계의 기후변화협약 대응을 위한 교육 및 중장기 로드맵 작성을 추진해나갈 것이다. 철강업계는 그동안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과 절감을 위한 정부와의 자발적협약(VA:Voluntary Agreement)을 체결, 2003년 자발적 협약 전체 절감량의 18.3%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절감하는 데 성공했다. 또 향후에는 파이넥스와 스트립캐스팅과 같은 차세대 혁신공정 개발로 환경문제 및 에너지 저감 노력을 계속할 것으로 관측된다. 더불어 다른 산업계에서도 생산원가 절감과 경영이익을 위해 마른 수건을 짜내듯 에너지 절감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온실가스 문제는 비단 산업계의 일만은 아니기 때문이다. 독일의 경우 산업 부문에 대해 강제적인 규제보다는 자발적협약에 의한 감축을 유도하고 수송×가정 부문에 있어서도 오염물질 저배출 차량에 대한 세제감면, 건물효율 및 등급제 시행 등 규제와 지원제도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결국 우리나라도 산업에만 집중되고 있는 온실가스 저감정책에서 벗어나 범국민적인 에너지 절약실천으로의 인식전환이 필요한 때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