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그리스 2차 구제금융 이달 넘기나

합의 늦춰질 경우 ‘여름 위기설’ 현실화


이달 말까지 그리스 2차 지원계획을 매듭지으려고 했던 유로존과 유럽중앙은행(ECB)의 내홍이 커지면서 추가 지원대책이 다음달로 미뤄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그리스가 올해 상환해야 하는 국채 대부분이 7, 8월에 몰려있어 자칫 ‘여름 위기설’이 현실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1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그리스 2차 지원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유로존 재무장관들이 벨기에 브뤼셀에서 회동했지만 민간 채권자들의 그리스 지원방안 참여여부를 놓고 합의를 도출하는 데 실패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이에 따라 그리스 구제방안 합의가 다음 달에야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유로존 회원국들과 ECB는 그리스 지원안에 민간 채권단을 참여시킬 지 여부를 두고 팽팽한 줄다리기를 이어 갔다. 구제금융 재원의 상당부분을 분담하고 있는 독일을 비롯한 핀란드 및 네덜란드는 롤오버(차환)를 전제로 민간 투자자들의 고통 분담을 촉구하고 나섰다. 앞서 10일 볼프강 쇼이블레 독일 재무장관은 그리스 국채 만기를 7년 연장해 줄 것을 제안했다. 하지만 ECB와 프랑스는 반대의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 그리스 국채 만기 연장을 시행할 경우 다른 유로존 국가들의 부담이 커질 뿐 아니라 시장이 사실상 디폴트로 간주할 것이란 이유에서다. 차기 ECB 총재로 내정된 마리오 드라기 이탈리아 중앙은행 총재도 “그리스 채무재조정안에 민간 투자자들의 강제적 참여는 안 된다”고 못박았다. 이처럼 유로존이 심각한 불협화음을 빚자 다급해진 유로존 재무장관들은 당초 20일로 예정됐던 회의를 19일로 앞당겨 추가 논의하기로 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23~24일로 예정된 유로존 정상회의까지 합의 도출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전망하고 있다. 특히 올해 만기 도래하는 그리스의 국채 350억 유로 중 절반인 180억 유로가 7,8월에 몰려 있어 합의 도출이 늦어질 경우 그리스가 막다른 골목에 몰릴 수도 있다는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한편 파이낸셜타임스(FT)는 15일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의 문건을 입수해 독일이 주장한 대로 그리스 국채 만기를 연장할 경우 유로존이 추가로 부담해야 할 액수가 200억 유로에 이른다고 보도했다. 현재 그리스 2차 구제금융 규모가 1,200억유로에 까지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국채 만기조치까지 시행할 경우 최고 1,400억유로에 이른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는 지난 해 집행한 그리스 1차 구제금융 규모 1,100억 유로를 훨씬 넘어서는 것이다.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