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호가만 들썩… 매물도 거래도 끊겨

■ 행정도시 예정지를 가다<br>"규제 여전… 외부 투자자 발길 거의 없어"<br>보상금 유입기대 주변아파트는 관심 집중

“외부 문의는 조금 늘고 있지만 거래가 묶여 있고 주민들의 보상심리가 커져 실 거래는 전혀 없다.”(연기군 학사공인 배창무 사장) “전답은 평당 15만원 정도, 시내 지역은 평당 400~500만원 정도이지만 실제 거래는 거의 없어 호가에 지나지 않는다.” (공주시 현진공인 이덕우 사장) 이달 초 행정도시 특별법 통과에 이어 지난달 23일 행정도시 예정지역과 주변지역이 지정 고시되면서 충청권 부동산 시장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정부 발표 직후 행정도시 주변지역은 기대 심리가 살아나면서 호가가 오르고 있지만 각종 규제로 거래는 거의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반면 보상금이 유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예산, 홍성 등 충청 서남부 지역과 주변 아파트가 투자처로 떠오르고 있다. ◇토지, 매수세 없이 호가만 치솟아=정부가 행정도시 예정지역과 주변지역을 지정 발표한 직후 현지를 찾는 투자자의 발길은 예상보다 뜸했다. 작년 행정수도 위헌 판결 전까지 주말이면 문전성시를 이루던 중개업소 주변도 한산하다 못해 썰렁하다. 행정도시 예정지역인 연기군 남면의 한 중개업자는 “작년에는 서울을 비롯한 외지 사람들이 고급 승용차를 타고 자주 드나들었지만 이번에는 다르다”며‘정부의 규제’를 원인으로 들었다. 지난해 4월 문을 열었다는 또 다른 부동산 중개업자도 “특별법 통과 이후 땅값이 회복 중이지만 나와있는 매물도 사려는 사람도 없다”고 말했다. 행정도시 주변지역으로 지정된 장기면 도계리의 중개업소 밀집지역은 지난해 위헌 결정이후 짐을 쌌던 중개업자들이 속속 돌아오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기대와는 달리 시장은 과열되지 않고 있다. 수요는 없지만 땅값이 오를 것을 기대해 매도 호가만 높아지고 있다는 게 주변 중개업자의 설명. 한 부동산 관계자는 “이 곳 땅값이 오르고 거래도 활성화하려면 서울 등 타지 사람들이 들어와야 하는데 토지거래허가제 등 규제가 심해 그런 움직임은 별로 없다”라고 말했다. 인근 청주에서 온 중개업자도 만날 수 있었다. 이 모씨는 “법안이 통과된 후 청주 주민들에게 매매 가능 여부 문의가 있어 직접 찾아왔지만 거래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며 “우선은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반응이다. ◇주변 아파트, 충청 서남부 투자처 관심=토지와는 달리 아파트는 거래가 살아나며 값도 오르고 있다. 부동산랜드 문경호씨는 “분양이 끝난 공주 대동 피렌체 아파트는 웃돈이 약 1,000만원 가량 형성되어 있다”며 “행정도시와 접근성이 좋은 이곳 아파트의 인기가 앞으로 올라갈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연기군 금남면 용포리의 두진 리버빌은 분양이 진행 중이다. 임대아파트에서 2004년 4월 분양 전환되었는데 18평형 일부가 아직 남아있다. 분양 완료된 23평은 최근 1,000만원 값이 올랐다. 이장인 황남규씨는 “임대가 완료되지 않았던 18평형도 분양 전환하면서 가격이 올라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중개업자들은 투자처로 충청 서남권을 꼽았다. 행정도시 예정 지역 4조7,000억원, 대전 서남부 2조원 등 7조원에 달하는 보상금이 풀리면 부여, 예산, 홍성 등 서남부 지역으로 흘러 들 수 밖에 없다는 것. 한 중개업자는 “대전은 그린벨트로 묶인 곳이 많고 천안권도 투자 메리트를 잃었다”며 “지금은 팬티라도 팔아서 충청 서남권의 땅을 살 때”라고 열변을 토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