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8월 27일] 농축산물 유통구조 개선 시급하다

우리 농업의 경쟁력과 발전을 가로막는 큰 걸림돌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것이 후진적 유통구조다. 농수산물유통공사의 ‘2007년 주요 농산물 유통실태 조사 결과 분석 보고서’는 낙후된 농축산물 유통 시스템의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새삼 확인시켜준다. 보고서에 따르면 42개 대표 품목의 최종 가격 가운데 생산자인 농가의 몫은 44.1%밖에 되지 않는 반면 유통비용은 무려 55.9%에 달했다. 소비자가 시장에서 1,000원짜리 농축산물을 샀다면 농가 몫은 441원뿐이며 그보다 많은 559원이 유통비용이라는 이야기다. 농가에 돌아가는 돈이 판매가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품목이 26개나 됐다. 특히 대파는 19.5%, 당근은 24.9%, 봄감자는 27.8%에 불과했다. 그러니 농민들은 열심히 농사를 지어도 손에 쥐는 게 적어 늘 형편이 어렵기만 하고 소비자들은 적정가보다 훨씬 비싸게 농축산물을 사먹어 모두가 손해를 보는 것이다. 물가상승에는 이런 유통비도 한몫을 한다. 터무니없이 많은 유통비는 두말할 것도 없이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유통구조 때문이다. 생산자에서 공판장ㆍ도매상ㆍ중간상 등 여러 단계를 거치다 보니 배보다 배꼽이 커지는 것이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등 개방 가속화로 농업 분야의 피해가 불가피해짐에 따라 농축산업의 경쟁력 강화가 발등의 불이 된 상황이다. 유통구조만 개선돼도 농업 경쟁력은 상당히 높아질 수 있다. 농가의 형편이 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매시장을 경유하지 않을 경우 농가는 21.9% 정도 높은 값을 받고 소비자는 7.7% 낮은 값에 구입할 수 있다는 게 농수산물유통공사의 분석이다. 또 산지에서 유통업체로 직접 공급이 이뤄지면 도매시장을 거치는 것보다 유통비용이 11.5%포인트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도농 직거래 확대 등 유통구조의 단순화와 유통경로 간 경쟁을 통한 비용절감이 절실하다는 이야기다. 도농 직거래는 현재 종교단체나 일부 시민단체 등에서 부분적으로 이뤄지고 있는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전국망을 가진 농협 등을 중심으로 체계화ㆍ규모화ㆍ상설화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