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근혜 대통령 첫 시정연설] 여, 국정원 개혁특위 구성 전격 수용

특검은 "절대 불가" … 야 "특검 없는 특위 없다" 맞서

박근혜 대통령이 18일 여야 합의를 전제로 민주당의 요구에 응할 수 있다고 말해 '양특(특검ㆍ특위)' 실시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새누리당은 여전히 '특검은 절대 불가'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특위에 대해서는 기조가 바뀌고 있어 여야 간 제한적 합의가 이뤄질 수 있다는 시나리오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일단 특검에 대한 여야의 입장은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민주당이 특검 관철에 사활을 걸고 있는 반면 새누리당은 검찰의 수사도 마무리되지 않았다며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유일호 새누리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새누리당에서는 특검 안 된다는 입장이 대다수"라며 "특검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도부가 판단한다면 공론화 과정부터 거쳐야 할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다만 특위에 대해서는 여당 내에서도 "협상의 여지가 있다"는 목소리가 점차 커져 합의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내년도 예산안과 주요 법안 처리가 시급한 상황에서 정국 경색을 풀어줘야 한다는 지적이 힘을 받으면서다.

새누리당의 한 핵심관계자는 "지난 9월 박 대통령과 여야 대표 간 3자회담이 성사되기 전에도 특위에 대한 얘기가 잠시 오갔다"며 "당 지도부에서도 특위 정도는 받을 수 있다는 분위기가 있다"고 전했다.

민주당도 박 대통령의 시정연설에 대해 전반적으로 혹평을 내놓으면서도 "국회 합의사항을 받아들이겠다"고 말한 부분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양특' 수용을 놓고 강경 일변도이던 분위기에 미묘한 변화가 관측된 것이다.

김한길 민주당 대표는 "대통령이 최근 야당이 제기한 여러 문제를 포함해 무엇이든 국회에서 여야가 충분히 논의해 합의점을 찾으면 존중하고 받아들인다고 말한 점을 주목한다"며 "지난 대선과 관련된 의혹 일체를 특검에,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 개혁은 특위에 맡기고 국회는 민생을 살리기 위한 법안ㆍ예산안 심의를 벌여야 한다는 민주당의 제안에 대통령이 응답한 것이라면 새누리당에 긍정적인 변화가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