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시장논리 벗어난 코넥스 활성화 정책


시장은 공급자와 수요자가 함께 존재해야만 형성된다. 공급자가 아무리 많은 상품을 보유하고 있어도 사려는 주체가 없으면 의미가 없다.


지난주 금융위원회는 주식시장 발전방안을 발표했다. 중소기업 전용시장인 코넥스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분리과세 하이일드펀드가 코넥스 주식에 일정 비율 이상 투자하는 경우 공모주 우선 배정기회를 기존보다 더 제공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애초 분리과세 하이일드펀드 도입 취지가 하이일드 채권과 코넥스시장 활성화였지만 코넥스 거래가 턱없이 미미해 이번 정책은 코넥스시장에 초점을 맞췄다.

관련기사



금융위가 내놓은 이 방안이 적용되면 코넥스시장은 수요자는 없고 공급자만 있는 기형 시장이 된다. 코넥스 61개 종목의 10월 일평균 거래대금은 2조8,600억원으로 코스닥시장의 8,000분의1에 불과하다. 유동성이 턱없이 부족하다. 분리과세 하이일드펀드가 함부로 코넥스 주식을 담았다가는 투자자들의 환매 요청시 거래 상대방이 없어 매도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거래량이 미미해 코넥스시장은 투자자들에게서 외면받고 있다. 투자자문사를 제외하고 분리과세 하이일드펀드 운용사 가운데 코넥스 종목을 편입하는 곳은 현재 단 한 곳도 없다.

제도 도입 취지대로 중소기업들의 자금 조달을 쉽게 하려면 시장 활성화는 반드시 필요하다. 문제는 정부가 아무리 공모주 미끼를 앞세워 코넥스시장을 살리려고 해도 정책 효과가 먹혀들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운용사들은 "투자할 만한 코넥스 기업이 없어 요건을 충족할 수 없는데 공모주 우선 배정 물량을 늘려놓은 들 의미가 없다"며 금융위 안에 부정적인 의견을 내비치고 있다. 공모주를 배정받은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을 위해 대거 환매에 나설 경우 코넥스 주식을 팔지 못해 환매에 대응할 수 없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 활성화에 급급해 일방통행식 제도를 앞세워서는 곤란하다. 금융당국은 마땅한 수요자들이 생겨날 수 있도록 진짜 활성화 방안을 내놓아야 한다. 이를테면 국고채 시장에서처럼 프라이머리 딜러들이 거래에 참여하는 제도를 고민해볼 수 있다. 공급자에 상응하는 수요자가 있어야 한다는 사실은 기본적인 시장 논리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