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정운찬총장 "한국, 선진국 문턱서 휘청"

삼성 사장단 초청강연서 한국사회 비판

정운찬 서울대 총장이 삼성그룹 사장단 앞에서 경제와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의 현 주소에 대해 신랄한 비판을 가했다. 정 총장은 23일 삼성 본관에서 열린 삼성 사장단 회의에 초청연사로 참석해 강연할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는 선진국 진입을 코앞에 두고 휘청거리며 적신호를 보이고 있다"며 "경제성장은 일부 대기업의 힘에 의존할 뿐이며, 중산층은 붕괴해가고서민들은 생존권까지 위협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명문대생이 카드빚 때문에 강도로 돌변하고 실업문제 등으로 젊은이부터 노인까지 매일 40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초등학생까지 폭력서클에 가입하고 가족끼리 살해청부를 한 엽기적 사건이 일어나고, 이런 환경에서 아이를 키울 수 없다는 사람이 늘면서 세계 1위의 저출산국이 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런 현상은 정치적, 제도적 민주화는 이뤘지만 민주주의를 작동시키는능력은 여전히 미성숙한 상태에서 갈등의 골이 깊어져 일어난 것"이라며 "무리한 수술과 극약처방보다는 기초 체력부터 탄탄히 다져주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는 세계 1등이 아니더라도 대다수 국민의 삶의 질을 알차게 다져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는 강건한 경제를 구축해야 한다"며 "규모는 크지 않지만 강한실력을 갖춘 강소국가(强小國家) 또는 강중국가(强中國家)야말로 우리가 추구해야할 일류국가의 모습"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대학은 규모의 경제가 대학에도 적용된다는 착각에 사로잡혀 양적팽창에 집착하다보니 `너무 커서 좋은 제품이 나오기 힘든 산업'이 돼 버렸지만 위기의 징후를 감지하지 못한 채 구조조정조차 시도하지 않았다"며 대학 구조조정의필요성을 역설했다. 또 "대학은 더 이상 기성지식의 전수기관이 아니라 미래를 창조할 수 있는 지적능력을 길러내는 곳으로 바뀌어야 하며, `모방을 통한 양적 팽창'에서 `창조를 통한질적 성장'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대학 구조조정의 기본 원칙은 학생들에게 훌륭한 교육을 제공할 능력이 있는 대학만이 고등교육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입장을밝혔다. 그는 "인구가 2억8천만명인 미국의 최상위권 10개 사립대가 일년에 배출하는 학생이 1만명 남짓인데 4천700만명인 한국의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신입생 수는 해마다 1만5천명에 육박한다"며 "등록금을 마냥 올릴 수도 없는 현실에서는 대학 규모를 축소하는 데서부터 변화의 실마리를 찾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서울대는 입학정원을 3천800여명에서 3천200명선으로 17% 줄인데 이어 가능하면정원을 더 줄여갈 것이라고 정 총장은 밝혔다. 또 학문 후속세대에 대한 교육의 질적 강화를 위해 올해부터 1천700명의 대학원생들에게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장학금 전액과 최소 생활비를 지원할 계획이라고말했다. 정 총장은 대학교육의 주요 과제로 △대학규모 축소와 대학별 특성화 △기초교육 강화를 통한 전문교육의 내실화 △첨단분야와 기초학문의 균형 육성 등을 제시했다. 이학수 삼성 구조조정본부장이 주재한 이날 회의에는 삼성전자를 비롯한 삼성주요 계열사 사장들이 대거 참석했다. (서울=연합뉴스) 공병설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