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더 추워진 겨울 전력수급대책 빨리 세워라

예년보다 빨리 찾아온 강추위의 기세가 무섭다. 사흘째 이어지고 있는 영하의 날씨는 주말이나 돼야 평년 기온을 되찾을 것이라는 게 기상청의 전망이다. 예비전력도 가파르게 떨어지고 있다. 19일에는 난방 사용량이 급증하며 전력수급경보 발령 직전 단계인 507만kW까지 곤두박질쳤다. 예상을 웃도는 수요증가에 전력당국이 바짝 긴장할 수밖에 없게 생겼다.

아직 겨울이 시작되지도 않았는데 큰 일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 겨울은 예년보다 길고 더 심한 혹한이 될 가능성이 높다. 전력수요가 계속 증가추세인 점까지 감안하면 올 1월 기록한 역대 최고인 7,652만kW를 뛰어넘을 게 뻔하다. 이대로 가다가는 겨울철 예비전력이 200만kW대 아래로 내려갈지도 모른다.


공급이 늘어나길 바랄 수도 없는 처지다. 한빛원자력발전소 2호기가 19일부터 가동에 들어갔다고는 하지만 불량부품 등의 문제로 멈춰선 신월성1호기 등 원전 4기는 아직 재가동 여부조차 불투명하고 한빛 5호기도 다음달 계획예방정비로 가동이 중단된다. 사상 최악이었던 올 여름 전력대란을 뛰어넘는 위기를 겨울에 다시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관련기사



결국 올 겨울도 절전 동참에 호소하는 것 외에 대안이 있을 수 없다. 여름에 비 오듯 땀을 흘리며 적정온도 26도를 지킨 국민이지만 이제는 18도 속에서 떨어야 한다. 21일부터 주택용 2.7%를 비롯해 평균 5.4% 오를 전기료도 짊어져야 한다. 전력수급예측 실패와 비리로 인한 책임을 국민이 떠안는다는 게 분통 터지지만 어쩔 수 없는 현실임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전력당국은 겨울철 최악의 사태를 막기 위해 서둘러 전력비상수급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그래야 2011년 블랙아웃(대정전) 재발의 불안을 조금이나마 덜 수 있다. 국민 앞에 머리 숙이는 모습도 필요하다. '전력대란은 올해로 끝'이라는 현실성 없는 다짐보다 이 편이 훨씬 설득력이 있다. 이러한 반성 없이 전기료를 인상하면서 이용량이 예측을 넘어섰다고 핑계를 대는 건 국민에 대한 도리가 아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