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문재인·김한길 "사초 실종 엄정 수사" 한목소리

친노·비노 갈등 노출되자 특검 염두에 두고 봉합나서<br>새누리선 "검찰에 맡겨야"<br>후속문건 열람에도 부정적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사건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가 첫걸음부터 여야의 폭로ㆍ비방으로 얼룩졌다.

국정원 국정조사특별위원회는 24일 전체회의를 열고 황교안 장관 등으로부터 국정원 사건과 관련한 법무부의 기관보고를 받았다.


이 자리에서 박범계 민주당 의원은 이른바 '권영세 녹취록'을 폭로했다. 지난달에 이어 추가로 공개된 녹취록에는 권 대사가 지난 12월 여의도 모처에서 "이명박 정부 당시 국정원에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내용을 다시 끼워 맞췄다"며 "그 내용을 청와대에 요약 보고했고 어떤 경로로 정문헌 새누리당 의원한테로 갔다"고 언급한 내용이 담겨 있다.

권 대사의 발언이 NLL 대화록 훼손과 불법 사전유출의 근거라는 주장이다. 그는 지난 대선 당시 새누리당 선거대책위원회 종합상황실장을 지낸 박근혜 대통령의 핵심 측근이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국정원의 댓글을 통한 여론조작 사건과 이를 시발점으로 한 NLL 대화록 불법유출 사건은 일란성 쌍둥이"라며 "정권유지와 더 나아가 장기집권을 꾀하기 위한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새누리당은 민주당이 국정원 대선개입 제보를 조건으로 '매관매직'을 했다는 의혹으로 맞불을 놓았다. 이장우 새누리당 의원은 민주당 측 제보자로 알려진 국정원 전 직원이 "19대 총선에서 공천을 신청했다가 못 받았다"며 "(민주당) 박지원 의원에게 90도로 절하는 사진도 있다"고 공세를 펼쳤다.

장외에서는 'NLL 대화록 증발사태'의 출구를 찾기 위한 공방이 이어졌다. 여야 모두 앞에서 "철저히 수사하자"고 하면서도 뒤에서는 서로의 입장만 되풀이하는 형국이다.


새누리당은 '사초(史草) 증발'의 책임자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이었던 문재인 의원을 지목하고 신속히 검찰 수사를 진행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후속 조치를 담은 문서를 열람하자는 민주당의 요구에도 '본말전도'라며 오히려 정치적 논란만 가중시킨다고 선을 그었다.

관련기사



반면 김한길 민주당 대표는 이날 긴급 기자회견에서 "여야가 합의해서 엄정한 수사가 있으면 될 것"이라며 특검 구성을 염두에 둔 듯한 발언을 했다. 그는 또 부속문건 열람은 별개의 사안이라며 "국회에 와 있는 기록들은 의결한 대로 열람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한편 황 장관은 이날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이 지난 1월 검찰에서 노 전 대통령의 지시로 '이지원(e-知園)' 시스템에서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을 삭제했다고 진술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 내용을 부인했다. 그는 "그런 확정적 진술을 한 것은 아닌 것 같다"며 "조 전 비서관의 진술에 대한 여러 보도가 있었으나 검찰에서 진술 받은 것과는 다른 부분이 많이 있다"고 밝혔다.

조 전 비서관은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노 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대화를 녹취하고 대화록 최종본을 작성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