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강남 고가아파트 경매 후끈

이달 10억이상 14건 중 12건 낙찰… 낙찰가율·응찰자 수도 ↑


서울 강남3구의 10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가 경매시장에서 빠르게 주인을 찾고 있다. 지난해 경매시장에서 뜨거웠던 중소형 아파트의 열기가 최근 정부의 부동산 활성화 정책에 따라 고가 아파트로 확산되는 모습이다.


22일 지지옥션에 따르면 이달 들어 19일까지 강남3구의 10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14건이 경매에 붙여져 12건이 낙찰되며 85.7%의 낙착률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달 낙착률 50%(28건 중 14건 낙찰), 지난해 9월의 34.1%(44건 중 15건 낙찰)와 비교하면 기록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강남3구의 10억원 미만 아파트 낙찰률 38%에 비해서도 높은 수치다.

관련기사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과 평균 응찰자 수도 상승했다. 9월 평균 낙찰가율은 88.8%로 지난달보다 4.8%포인트, 지난해 9월에 비해서는 27.4%포인트 올랐다. 평균 응찰자는 6.9명으로 전달에 비해 1.2명, 지난해 9월보다는 3.4명 증가해 두 배가량 늘었다.

지난 2일 경매가 진행된 서초구 반포동 반포경남 전용 154㎡는 21명이 입찰에 참여해 감정가의 106.5%인 14억3,800만원에 낙찰됐는데 차상위 낙찰자와는 불과 400만원 안팎의 초접전이 벌어졌다. 강남구 대치동 한보미도맨션 전용 137㎡는 감정가 13억7,000만원에 1회차 경매가 진행됐으며 4명이 경쟁해 감정가 대비 104.6%인 14억3,799만원에 주인을 찾았다.

이창동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지난해만 해도 강남의 고가 아파트는 두 번가량 유찰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지금은 한 차례 유찰되거나 저평가된 물건은 신건에서 바로 낙찰되고 있다"며 "경매 물건은 경매 개시 4~5개월 전에 감정가를 평가하는 만큼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이후 강남3구의 시세 상승분을 반영하지 못한 저평가 경매 물건에 대한 관심이 높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