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사회보호 재정지출비중 OECD국의 4분의1

SOC투자 등 경제업무 비중은 2.5배…국방부문 비중도 3배 달해

우리나라 정부의 총재정지출 가운데 사회보호 분야 비중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의 4분의1에 그치지만 경제업무 비중은 2.5배에 달해 재정지출의 경제업무 편중현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세연구원의 박형수 연구위원이 24일 `재정포럼 2월호'에 기고한 `분야별 재정지출 구조의 국제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2002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정부의 총재정지출 가운데 사회보장과 복지 등 사회보호 분야의 비중은 9.4%였다. 이는 OECD 회원국 가운데 2002년 기능별 재정지출 비중 통계를 발표한 18개국의 평균인 37.4%의 4분의1에 불과하다. 하지만 총재정지출 가운데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기업.농어촌 지원 등을 위한 경제업무의 비중은 25.5%로 OECD 18개국 평균인 10.2%의 약 2.5배에 달했다. 박 위원은 "재정지출 배분은 각 국가의 경제환경과 납세자의 수요에 달라질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다른 OECD 회원국과 달리 재정지출의 경제업무 편중과 사회보호저조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며 "OECD 회원국 가운데 경제업무 비중이 사회보호보다높은 국가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국방부문 재정지출 비중도 10.2%로 OECD 회원국 평균인 3.2%의 3배를 넘었다. 또 우리나라의 사회보호 분야 비중은 낮았지만 공공질서 및 안전(5.6%), 환경보호(2.6%), 주택 및 지역개발(3.7%), 교육(17.1%) 분야의 재정지출 비중은 OECD 국가의 평균보다 높았다. (서울=연합뉴스) 이상원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