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용산 랜드마크 빌딩 수주전 막 올랐다

공사비 1조4,000억 달해<br>단일 건축물론 사상 최대<br>현대·삼성등 대형사들 눈독



서울 용산역세권 개발의 상징인 랜드마크빌딩 시공권을 따내기 위한 국내 20위권 건설사들의 본격적인 수주전 막이 올랐다. 총 1조4,000억원이 투입돼 용산국제업무지구에 100층 이상 높이 건물로 들어서는 랜드마크빌딩은 단일 규모로는 최대 공사로 꼽혀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시행사인 용산역세권개발㈜은 11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지난달 발표한 사업정상화 방안의 첫 후속조치로 랜드마크빌딩의 시공을 맡게 될 건설사 선정 공모안을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공모안에 따르면 도급순위 20위권 건설사를 대상으로 신용등급(30%), 시공능력(20%), 시공실적(20%), 공사기간(10%), CB인수참여(10%), 공사이익률(10%) 등 6개 심사기준을 적용해 오는 9월26일까지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공모안은 미래의 불확실한 물가 상승분까지 고려한 공사 실질원가에 공사이익을 보장하는 '실비보상 방식(Cost plus Fee)'으로 총공사비를 결정해 시공건설사의 이익을 보장해줄 방침이다. 특히 이번 공모안은 그동안 건설사 참여의 최대 장애로 지적돼왔던 지급보증 조건이 전면 철회됐다는 데 의미가 있다. 공기업인 코레일이 랜드마크빌딩 선매입으로 공사비 지급이 보장된 상태에서 지급보증 등 추가 리스크가 어느 정도 해소돼 대형 건설사들이 눈독을 들여왔다. 용산역세권개발은 17일 서울 광화문빌딩에서 주요 건설사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연면적으로 여의도 63빌딩의 2배가 넘는 규모로 건설될 랜드마크빌딩은 1조4,000억원이 투입돼 단일 건축물로는 사상 최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건설과 삼성물산 건설부문 등 선두 건설업체들은 내부적으로 입찰에 참여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필요한 준비절차 등을 서두르고 있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랜드마크빌딩에 입찰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현대건설도 "입찰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반면 일부 업체는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GS건설 관계자는 "대형 프로젝트파이낸싱(PF)사업이 하나같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어 사업 참여시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 의문"이라며 "정확한 상황을 확인한 뒤 수익을 낼 수 있다는 판단이 선 뒤 입찰에 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