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GDP 대비 수출 비중‘52.7%’사상 최대

올해 2ㆍ4분기 수출 증가세 둔화에도 실질 국내총생산(GDP)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율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내수의 비중은 최저 수준을 맴돌면서 수출이 민간소비를 앞지르는 현상이 2ㆍ4분기 연속 지속됐다.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계절조정 기준으로 실질 GDP 대비 수출의 비율은 올해 2ㆍ4분기 52.7%로 관련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197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 수치는 1970년 1ㆍ4분기 4.2%에 불과했으나 산업화의 진전과 함께 꾸준히 늘어나면서 2002년 3ㆍ4분기 처음으로 30%, 2005년 4ㆍ4분기에는 40%를 돌파했다. 또 지난해 3ㆍ4분기 50.2%를 기록한 이후 같은 해 4ㆍ4분기 51.2%, 올해 1ㆍ4분기 52.2%로 계속 늘어나고 있다. 반면 실질 GDP에서 내수에 해당하는 민간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2ㆍ4분기 51.5%로 지난 1ㆍ4분기 51.4%를 제외하면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가장 낮았다. 실질 GDP 대비 민간소비 비중은 1970년 1ㆍ4분기에는 84.1%로 절대적이었지만, 점차 내리막길을 걸으면서 1997년 2ㆍ4분기 59.4%를 기록한 이후 현재까지 50%대에 머물러 있다. 특히 지난 1ㆍ4분기에는 실질 GDP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처음으로 내수의 비중을 넘어섰고, 2ㆍ4분기에는 내수 비중에서 수출 비중을 뺀 격차가 -0.8%포인트에서 -1.2%포인트로 확대됐다. 2ㆍ4분기 민간소비 증가율이 전분기 대비 1.0%로 1ㆍ4분기 0.4%보다 확대됐고 성장기여도 역시 커졌지만, 여전히 실질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에는 큰 변화가 없는 셈이다. 내수가 수출에 못 미치는 현상이 지속되는 것은 우리나라 경제가 외부 여건에 따라 크게 흔들릴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실제로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교역조건이 악화되면서 수출 신장세가 둔화되자 2ㆍ4분기 실질 GDP 성장률이 지난 4월 한은의 전망치보다 0.4%포인트 낮은 3.4%에 그쳤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