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보다 넓은 통합시 탄생하나

성남·광주·하남시 의회 이번주 통합여부 결정

경기 성남시ㆍ광주시ㆍ하남시의 행정구역 통합 여부가 이번주에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세 지방자치단체가 통합되면 수도권에 서울보다 면적이 넓고, 울산보다 인구가 많은 거대 도시가 탄생한다. 행정안전부의 한 관계자는 20일 "경기 광주시의회가 21일 통합안을 놓고 표결하는 데 이어 하남시의회도 24일 의결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성남시의회는 일정이 잡히지 않았지만 24일까지 통합안의 찬성 여부를 결정해달라고 요청한 상태"라고 말했다. 이들 지역 가운데 광주시ㆍ하남시는 주민의 통합 찬성률이 70~80%에 달해 의회에서 무난하게 찬성 의결이 이뤄질 것으로 관측되지만 성남시의회는 다소의 진통이 예상된다. 성남시는 시 집행부가 지난 14일 '행정구역 통합에 대한 의견 제시안'을 시의회에 제출했지만 민주당정책협의회와 민주노동당이 시의회 내에서 농성에 들어가는 등 표결을 놓고 마찰을 빚고 있다. 이 지역이 통합되면 면적 665.6㎢, 인구 134만6,000명으로 서울(605㎢)보다 넓고 울산광역시(111만5,000명)보다 인구가 많은 초대형 도시가 된다. 특히 판교신도시와 하남 보금자리 주택의 입주가 끝나면 인구가 140만명에 달해 광주광역시(143만3,000명) 및 대전광역시(148만5,000명)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서울ㆍ부산ㆍ대구ㆍ인천에 이은 국내 5대 도시를 다툴 것으로 예상된다. 성남권 통합 때 향후 10년간 정부에서 받는 인센티브는 3,245억원, 재정 절감액은 5,626억원에 달하고, 생산 유발액이 1조685억원, 고용효과가 1만2,500명에 이를 것으로 행안부는 분석했다. 정부는 성남시의 정보기술(IT)을 기반으로 한 지식산업과 하남시의 친수ㆍ레저, 광주시의 전원ㆍ휴양 시설을 결합해 자족형 산업기능과 전원형 주거기능이 공존하는 `미래형 도시'를 만들 계획이다. 한편 행안부는 통합을 확정한 창원ㆍ마산ㆍ진해 지역은 이번주에 통합준비위원회를 발족하는 등 후속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며 청주와 청원의 통합안은 연말을 전후해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이곳은 청원에서 반대가 심하지만 지역 정치권 등을 중심으로 통합여론이 조성되고 있는 것으로 행안부는 파악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