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에이즈 바이러스 감염 억제효소 발견

안광석 서울대 교수 연구팀

국내 연구진이 에이즈를 일으키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의 감염을 억제하는 리보핵산(RNA) 분해효소를 찾아냈다. 앞으로 에이즈 백신 개발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안광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20일 626개 아미노산으로 이뤄진 단백질 SAMHD1이 HIV-1의 유전체 RNA를 분해해 감염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SAMHD1은 염기서열에 관계없이 HIV-1 RNA만 특별히 인식해 분해한다는 것.

관련기사



연구팀은 또 핵산을 이루는 단위인 체세포 내 염기의 농도가 SAMHD1의 RNA 분해효소 활성 정도를 조절해 감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염기농도가 낮아지면 SAMHD1의 RNA 분해효소 활성이 높아지면서 HIV RNA가 직접 분해돼 감염이 억제되고 반대로 염기농도가 높아지면 SAMHD1이 비활성화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현재 시판 중인 항-HIV 약품들을 개량하거나 아예 새로운 백신을 만들어낼 수도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안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로 SAMHD1가 돌연변이에 상관없이 RNA를 분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면서 새로운 개념의 백신 개발 연구가 활발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메디슨지(Nature Medicine) 7월21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