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학생들 경기불황·취업난에 총학 선거 관심 '뚝'

일부大 선거무산 막으려<br>당선요건 대폭 완화 나서

대학 총학생회 선거가 학생들의 무관심과 참여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일부 대학에서는 선거 자체 무산을 막기위해 당선요건을 낮추는 등 궁여지책이 잇따르고 있다. 21일 대학가에 따르면 부산 신라대는 올해 당선요건을 투표율 33% 이상에 투표자 과반수 찬성으로 낮췄다. 이는 기존 당선요건이 투표율 50% 이상에 투표자 과반수 찬성이었지만 투표율이 50%를 밑돌자 대의원총회를 열어 단일후보 출마시의 당선요건을 바꾼 것이다. 신라대는 복수후보 출마시의 당선요건도 투표율 40% 이상에 과반수 찬성으로 완화했다. 지난 20일 끝난 신라대 2009학년도 총학생회 선거 결과, 투표율은 40%에 그쳤으며 단독 출마한 비운동권 후보가 당선됐다. 신라대 관계자는 “총학생회 선거 투표율이 낮아지면서 선거기간을 연장해야만 투표율 요건을 맞출 수 있어 당선요건을 낮춘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부산의 동서대도 단일 후보 출마시 투표율 30% 이상에 과반수 찬성을 얻을 경우 당선을 확정 짓는 선거규정으로 매년 선거를 치르고 있다. 총학생회 선거 투표율이 저조한 것은 대학생들이 ‘경기불황’과 ‘취업한파’라는 현실에 대한 압박감은 크게 느끼면서 막상 학내문제에 대한 기대감이 줄어든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전국 200여개 대학 중 운동권으로 분류되는 총학생회 40개, 뉴라이트 등 ‘반운동권’을 표방한 총학생회 30여개를 제외한 대다수 대학에서는 총학생회 선거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2009년학년도 대학가 총학생회 선거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는 ‘등록금’문제다. 1,000만원에 육박한 등록금 때문에 학자금 대출에 허덕이는 대학생들의 형편 때문이다. 연세대학교 등 수도권 지역 5개 사립대학 총학생회 모임인 ‘세대교체’는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는 등록금 상한제와 후불제를 도입해 고액 등록금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고액 등록금 때문에 대학생들은 사채 시장을 기웃거리고 심지어 죽음을 선택하기도 한다”며 “정부는 등록금 문제 해결을 위한 근본적이고 실질적인 대책을 도입하라“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