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글로벌/파이낸스] 국내 증권사에도 외국계출신 두각

증권업계 경쟁 갈수록 치열국내 증권사에 외국계 금융권 출신의 증권맨들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 삼성ㆍLGㆍ현대ㆍ대우ㆍ굿모닝신한 등 주요 증권사에는 외국계 금융권 출신 임직원들이 선진금융기법과 전문성 등을 바탕으로 성공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외국계 출신 임직원들은 대부분 리서치분야에서 근무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법인영업이나 마케팅ㆍ프라이빗뱅킹 분야로의 진출도 늘어가는 추세다. 갈수록 증권업계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유한 인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증권의 리서치센터장인 임춘수 상무는 프루덴셜증권 애널리스트를 거쳐 골드만삭스에서 고액 연봉을 받던 조사담당 이사 출신이다. 또 백운 금융팀장은 엥도스웨즈증권을 거쳤고 유틸리티팀의 송준덕 연구위원도 CLSA증권 애널리스트 출신이다. 자금시장사업부를 맡고 있는 최희문 상무는 뱅크트러스트 부사장과 CSFB, 골드만삭스 등을 거쳤다. 법인사업본부의 김석 전무도 엥도스웨즈와 체이스맨하탄은행에서 근무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투자은행(IB)사업부의 임기영 전무는 SSB 출신이다. LG투자증권의 박윤수 상무는 홍콩 프루덴셜자산운용에서 펀드매니저 및 리서치헤드, SSB에서 리서치헤드로 근무하다 스카우트됐다. 또 강대순 본부장은 뱅커스트러스트은행과 뱅크원은행을 거쳤다. 현대증권도 정태욱 리서치센터장이 자딘플레밍증권ㆍ앤더슨 컨설팅을 거쳤고 박준형ㆍ황형석ㆍ송정섭ㆍ우동제 연구원 등이 외국계 증권사에서 경험을 쌓았다. 또 법인영업본부의 공현무 이사는 ING베어링에서 근무했고 국제 영업팀에서는 다수의 외국계 은행권 출신들이 근무중이다. 대우증권에도 리서치센터를 중심으로 다수의 외국계 출신들이 포진해 있다. 전종화 국제조사 팀장은 대우증권에서 시작, ING베어링ㆍ살로먼스미스바니를 거쳐 다시 돌아왔다. 같은 팀의 신승용ㆍ이재원ㆍ김동현ㆍ정미영 연구원과 기업분석부의 신은주ㆍ이원선ㆍ양성욱 연구원도 외국계 증권사에서 경력을 쌓았다. 시저스클래스(PB점포)지점장을 맡고 있는 김선문 부장은 시티은행 출신이다. 동원증권은 김범준 부사장이 체이스맨하탄은행을 거쳐 JP모건 서울지점 상무를 역임했다. 또 도매영업 부문을 맡고 있는 유상호 부사장은 대우증권 시절 런던현지법인에 근무한 경력이 있다. 굿모닝신한증권은 최고경영자(CEO)인 도기권 사장이 시티은행 출신이고 리서치본부장인 이근모 부사장은 ING베어링, 살로먼스미스바니를 거쳤다. 이밖에 마케팅의 이흥주 상무는 씨티은행, 리스크관리 담당 정채영 상무는 UBS워버그ㆍ스탠다드차터드뱅크의 근무경력을 갖고 있고 상품운용의 김홍식 상무는 뱅커스트러스트ㆍING베어링ㆍBNP파리바 등에서 근무했다. 또 현재 뉴욕현지법인장인 윤일진 상무는 SG증권, 전량영업담당 김두헌 상무는 씨티은행 출신이다. 메리츠증권의 경우 박광준 상무가 메릴린치증권, 마케팅팀의 이경화 과장이 모건스탠리증권 출신이며 특히 부동산금융팀ㆍ채권영업팀에 다수의 외국계 출신이 포진해 있다. 공현무 현대증권 법인영업담당이사는 "경쟁력을 가진 인재가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라 외국계 출신들이 각 분야로 수혈되고 있는 것 같다"며 "국제적인 경험과 탄탄한 훈련 등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정채영 굿모닝신한증권 리스크관리 담당 상무는 "아직까지 대부분의 증권사들이 외국계 출신 인력을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라며 "전문 인력을 영입하는 것 만큼 이들이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정곤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