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수입차 안전관리 수준 높여야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수입차의 인기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수입차의 국내 자동차 시장 점유율은 5%를 돌파하며 급성장했다. 해외 브랜드의 자동차를 구입하는 소비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올해도 수입차 시장은 지난해보다 20~30%가량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수입차의 높아진 위상에 반해 안전관리 수준은 턱없이 부족해 이에 대한 개선이 절실하다. 최근 건설교통부가 발표한 ‘2007년 자동차 리콜(recall)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수입차의 강제 리콜은 13,706 대로 2006년의 7,593 대보다 약 80% 정도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국내에서 팔린 전체 수입차의 26%가량에 해당하는 것으로 수입차 4대 중 1대가 강제 리콜 대상이 된 것이다. 게다가 리콜 대상 차량이 실제로 수리 받은 정도를 나타내는 리콜 시정률은 52.1%에 그쳤다. 자동차 리콜이 차량 안전과 직결된 사항들에 주로 실시되기 때문에 리콜 대상 차량 중 수리를 받지 않은 절반가량의 수입차들은 차량 결함으로 인한 심각한 사고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이 같은 결과는 ‘차만 팔면 그만’이라는 수입차 업계의 안전불감증에서 야기됐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늘어나는 판매 대수에 비해 소비자들의 안전을 책임질 수 있는 정비네트워크는 현저히 부족한 것. 업계 한 관계자는 “리콜 시정률을 높이려면 수리 및 정비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소비자들에게 리콜 여부를 꼼꼼히 알려야 한다”며 “수입차 업계는 브랜드 파워에 의지해 판매 확대에만 주력할 뿐 실질적인 투자가 필요한 정비네트워크 확대는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 도로를 달리는 수입차 4대 중 1대가 리콜 대상이고 그 중 절반은 결함을 고치지 않은 채 달리고 있다면 이는 잠재적 흉기나 다름없다. 언제 어떤 상황에서 일어날 지 모르는 사고 위험을 그대로 안고 질주하기 때문이다. 어느새 국내 자동차 시장의 5% 이상을 점유한 수입차. 이제 그 위상에 걸맞게 소비자 안전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