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악령 출몰하던 독도'… 조선은 서양을 어떻게 만났을까

16세기 이후 다양한 사료 바탕 '근대 조선' 재조명<br>■ 악령이 출몰하던 조선의 바다<br>박천홍지음, 현실문화 펴냄


‘리앙쿠르트 암초, 메넬라이 섬, 호네트 섬, 다케시마…’ 동해에 우뚝 서 있는 우리 독도의 또 다른 이름이다. 다케시마를 제외한 나머지 이름들은 16세기 이후 서양의 배들이 동해에 출몰해 독도를 처음 보고 붙인 이름들이다. 1849년 프랑스 포경선 리앙쿠르트호가 동해에 고래잡이를 하다가 독도를 발견하고 붙인 이름이 ‘리앙쿠르트 암초(Liancourt Rocks)’이며, 러시아 해군 중장 푸탸틴이 1854년 필리핀 마닐라에서 일본 나가사키로 가던 중 독도를 발견하고 ‘메넬라이 섬(menelai:독도를 발견한 올라부차호의 흑해 함대 시절 이름)’으로 불렀으며, 1855년 영국 함선 호네트호의 함장 포사이스는 독도를 ‘호네트섬(Hornet Island)’으로 명명했다. 일본에 의해 독도가 다시 쟁점으로 떠오른 요즈음 18세기부터 19세기 말까지 조선의 바다에 등장했던 낯선 서양의 배를 주제로 중국과 일본 두 나라가 세계관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조선이 어떻게 서양을 만났는지를 풀어낸 책 ‘악령이 출몰하던 조선의 바다’가 발간됐다. 역사학자인 저자는 당시 조선 지방관들이 남긴 보고서와 일성록 등 조선의 사료와 서양인들이 남긴 일기ㆍ여행기ㆍ항해일지ㆍ편지ㆍ견문보고서 등을 함께 실어 어느 한쪽의 시각이 아닌, 균형잡힌 시각에서 근대를 맞이하던 조선의 모습을 들여다본다. 식민지 개척을 위해 공동체를 벗어났던 서양의 움직임을 눈치채지 못했던 조선 왕조는 바다에 출몰하는 이들을 도깨비처럼 걷는 양귀(洋鬼)라고 백안시했으며, 초기 서양 역시 조선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두지않았다. 중국처럼 땅덩어리가 크지도, 마르코폴로의 ‘동방견문록’에 그려진 지팡구(일본)처럼 황금이 지천에 널린 황홀한 나라도 아니었기 때문이다. 조선은 오히려 외국인을 감금하고 노예처럼 부린 공포의 왕국으로 악명이 높았다. 그러나 19세기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들의 움직임이 긴박해지면서 조선은 그 중심으로 떠오르게 된다. 그러나 쇠락하던 조선에게는 이 기회를 잡을 힘이 없었다. 바다를 통해 본 19세기 조선의 역사를 다룬 책에는 당시 낯선 상황에 처한 인간들의 다양한 이야기와 놀라움을 엿볼 수 있다. 조선 해안에 상륙한 서양인들이 처음 어떻게 조선의 사람들을 만나게 되었는지 등 미시적인 관점은 물론, 조선시대의 중대한 전환기인 19세기 서양인들이 조선의 외교적 정책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등을 다큐멘터리처럼 풀어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