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산·학·연 상호불신 골 깊다/과기정책연 조사

◎“중기 기술수용능력 부족” “대학은 현장경험 부족”/대기업은 연구소보다 기술력 우위 자체개발 의존/컨소시엄·기술이전 기구설치·연구시설 공유 절실산·학·연 협력이 참여기관간의 시각 차이로 제대로 추진되지 않는다. 대학이나 연구소는 「기업의 기술수용능력이 모자란다」, 기업은 「대학이나 연구소의 현장경험이 부족하다」는 상호 불신 때문에 산·학·연 협력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5일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소장 김인수) 오재건 박사는 정부의 연구성과 확산사업에 참여한 3백26개 대학·연구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성과 확산사업의 전략적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대학이나 연구소는 협력사업 수행과정의 어려움으로 ▲기업의 기술능력 부족(28%) ▲기업의 관심 부족(18%) ▲연구소의 지원 부족(17%) ▲제도 미비(13%) ▲현장경험 부족(11%) 등을 지적했다. 반면 기업은 ▲연구소의 지원 부족(20%) ▲기업의 기술수용능력 부족(20%) ▲제도 미비(16%) ▲연구소의 현장경험 부족(14%) ▲연구소의 홍보 부족(11%) 등을 꼽았다. 또 대학이나 연구소는 연구성과를 기업에 기술이전하는데 따른 문제점으로 ▲비용 부족(29%) ▲연구성과 부족(23%) ▲기술이전체제 미흡(19%) ▲관련 제도 미비(16%) ▲관심 부족(13%) 등을 지적했다. 반면 기업들은 연구성과의 상품화가 어려운 이유로 ▲대학과 연구소의 현장 경험 부족(25%) ▲대학과 연구소의 소극적인 태도(16%) ▲대학과 연구소의 연구결과 홍보 부족(15%) 등을 꼽았다. 따라서 산·학·연 협력에서 기업·대학·연구소 모두 「협력 메커니즘 부족」을 가장 큰 애로 요인으로 지적하고 다음으로 「연구과제 합의 도출」과 「연구진행과정 협의」 등 참여기관간의 시각 차이를 들었다. 이에 대해 오박사는 『기업의 기술수용능력 부족과 대학이나 연구소의 현장경험 부족이 동시에 상품화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라며 『기술개발자와 기술수요자간의 실질적인 교류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종합적으로 보면 국내 중소기업의 영세하고 기술개발이나 인력에 대한 투자가 미흡하여 대학이나 연구소의 첨단기술을 수용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대기업은 첨단기술에서 분야별로 대학이나 연구소보다 앞선 기술을 갖추고 있어 산·학·연 협력이 무의미하기 때문에 자체 기술 개발에 의존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산·학·연 협력을 촉진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문기술이전기구 설치 ▲연구개발 컨소시엄 구성 ▲개방연구실 제도 시행 ▲연구시설 공용 이용 등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또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성과를 확산시키려면 ▲상품화 투자 확대 ▲기술교류 촉진과 관련 제도 개선 ▲연구기획단계나 상품화단계에서 기업의 참여 등이 꼽혔다. 이에 오박사는 연구성과를 확산시키는 사업으로 ▲정부출연 연구소의 단설대학원 운영 ▲시험사업체제 구축 ▲협동연구컨소시엄 구성 ▲소규모 연구단지 활성화 ▲과학기술활용센터 설치 ▲출연 연구소의 특허담당제 도입 등을 제안했다.<허두영>

관련기사



허두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