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인사실패 책임자들 거취 결정해야"

정두언 의원, 권력핵심인사 퇴진요구 파문 확산<br>당의총서 "그들이 또 쇄신 주도 안돼" 신상발언<br>홍준표 "충정 이해하나 권력투쟁 시각 우려도"

청와대 참모진의 인사 문제점을 지적한 정두언(가운데) 한나라당 의원이 9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 동료 의원들과 인사하고 있다. /오대근기자

’대통령 주변인물의 권력 사유화’ 발언으로 파장을 불러일으킨 정두언 한나라당 의원이 9일 “인사실패 책임자들이 거취를 결정해야 한다”며 권력 핵심 인사들의 퇴진을 공개적으로 요구해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정 의원은 이날 비공개로 진행된 당 의원총회에서 신상발언을 통해 자신의 발언이 파문을 일으킨 것과 관련, 유감을 표명하면서도 “방법이 잘못됐다고 본질까지 잘못에 묻혀서는 안 될 것”이라며 이 같은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정 의원은 이어 “인사실패를 초래한 사람들이 아무런 책임을 지려 하지 않는다”며 “그러면 결국 대통령이 책임지라는 얘기밖에 더 되느냐”고 반문했다. 특히 그는 “게다가 그들이 또다시 인사쇄신까지 주도하는 상황이 됐다”며 “이래 가지고 쇄신이 제대로 되겠느냐. 이래 가지고 국정실패가 되풀이되지 않겠느냐”고 강조했다. 그는 “이것을 권력투쟁으로 몰고 가는 세력이 있는데 옛날 같으면 제가 사약도 받을 일”이라며 “권력투쟁이라면 결국 자리다툼을 말하는 것인데 제가 자리에 연연한다면 과연 이렇게 사약을 받을 일까지 하겠느냐”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의원총회 참석에 앞서 친분이 있는 의원에게 “우리가 도망갈 수는 없다. 스스로 냉정히 생각해 문제 제기가 됐으니 관철될 때까지 나아가야 할 것”이라며 ‘정면돌파’의 각오를 다진 것으로 알려졌다. ‘정두언 파동’은 주말을 거치면서 쌍방이 대응을 자제한 것과 함께 한나라당 지도부가 여권 내 권력암투로 확대 재생산되는 등의 파장을 우려해 적극적인 수습에 나서 일시 진정국면으로 접어들었다. 그러나 이날 정 의원의 발언을 계기로 류우익 대통령실장과 박영준 청와대 기획조정비서관 등의 인적쇄신 여부를 둘러싼 논란으로 확산되는 모습이다. 특히 이날 의원총회에서는 정 의원 발언의 형식이나 시기는 부적절했지만 내용에는 적지 않은 공감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권 원내 대변인은 이날 의원총회 브리핑을 통해 “정 의원의 충정을 다수 의원들이 이해하고 뜻을 같이한 것으로 이해해도 될 것 같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정 의원 발언에 공개적 반대는 없었다”고 덧붙였다. 김용태 의원도 “정 의원은 외롭지 않았다”면서 “진정성이 인정받는 분위기였다”고 비공개 의원총회 분위기를 전했다. 정몽준 최고위원 역시 의원총회장 밖에서 기자들과 만나 “많은 의원들이 공감했다. 말씀은 진솔하게 한 것으로 본다”면서 “눈물을 글썽거린 것 같기도 하다”고 말했다. 반면 김성태 의원은 의원총회에 앞서 보도자료를 통해 “정권 창출의 1등 공신이라는 사람들이 내부 분란을 만들어내고 있는 작금의 현실은 부끄러운 집권 여당의 자화상”이라면서 “해당 행위 당사자들은 응당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홍준표 원내대표는 “(정 의원의) 충정은 이해하지만 권력투쟁으로 보여질 우려가 있지 않겠느냐”고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면서 그는 “오늘 의총에서 나온 의견들을 가감 없이 국정쇄신대책에 포함시키도록 청와대와 대통령에게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명박 대통령 측근들의 중재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친(親)이명박 측 핵심 의원은 “모두가 노력해서 이 대통령을 만들었는데 안타깝다”면서 “당내 갈등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중재 노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