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은 미래 전략적 차원에서 인적자원 개발 관련 국가 기능을 강화하고 지식 및 인적자원 분야의 창조 및 활용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체계적으로 추진 중이다. 특히 시장의 불안정성 및 교육훈련에 대한 장기 투자로 인해 민간에서 양성하기 어려운 첨단 과학기술인력 및 고부가가치 전문 서비스인력을 국가에서 직접 육성해 체계적으로 공급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미국ㆍ영국ㆍ일본 등 선진국들은 지식기반경제 구축을 위해 평생학습, 직업능력 개발 등 인적자원개발체제(HRD) 사업을 국가 핵심전략으로 삼고 있다. 미국의 경우 이공계 대학생 연구지원기반 구축, 차세대 혁신주도자 육성 등을 국가혁신전략에 포함시킬 정도다.
브라질ㆍ인도ㆍ러시아ㆍ중국 등 브릭스(BRICs) 국가들도 세계적 경쟁력 확보를 위해 사회 인프라 확충, 교육제도 개선, 성장동력 다변화 등을 꾀하고 있다. 인도는 ‘인디아 비전 2020’에서 고용 및 교육을 가장 중요한 국가사업으로 꼽는다. 중국은 오는 2020년 세계 3위의 경제대국 건설을 목표로 개혁ㆍ개방 확대, 지역간 균형발전, 산업구조 고도화 등을 추진 중이다.
강소국으로 일컬어지는 핀란드ㆍ타이완ㆍ싱가포르 등도 교육과 직업훈련을 통해 비교우위 분야의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핀란드는 지속적인 교육훈련을 통한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등 13개의 미래전략을 제시하고 있으며 대만은 10대 국가발전전략에 e세대를 위한 인력개발을 중요 과제로 포함시켰다. 싱가포르 역시 미래전략으로 인적자원 혁신을 통한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핵심적인 과제로 삼고 있는 상황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ㆍ세계은행 등 국제기구들도 지식기반경제의 4대 구성요소로 경제체제, 정치제도, 디지털 정보기술 등과 함께 인적자원 개발을 꼽고 있다.
교육부의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와 같은 경제의 경우 평균 교육연수 1년이 증가하면 국내총생산(GDP) 1%가 증가한다는 연구보고도 있듯 앞으로 인적자원 개발 없이 국가의 미래란 기대할 수 없다”며 “우리나라도 이번 HRD 혁신을 통해 재정투자의 효율성 제고는 물론 국가 성장동력의 핵심인 우수 인적자원의 체계적인 양성 및 활용이 가능하게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