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이명박 대통령 "독도, 장기·전략적 대응 필요"

"이미 실효적 지배…국제사회도 인정할 것"

이명박 대통령 "독도, 장기·전략적 대응 필요" "이미 실효적 지배…국제사회도 인정할 것" 홍병문 기자 hbm@sed.co.kr 이명박 대통령은 31일 미국 지명위원회(BGN)가 독도 영유권 표기를 원상 회복한 것을 환영하면서 "역사를 마주하는 자세로 대응해나갈 필요가 있다"며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독도 문제를 외교안보라인의 문책보다는 장기적인 전략 마련 등을 통한 정책적 해결에 주안점을 두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정치권 안팎에서 일었던 외교안보라인 경질 기류는 수그러질 것으로 보인다. 쇠고기 파문에 이어 한미 관계의 또 다른 갈등 요인으로 대두됐던 독도 표기 변경 문제가 봉합되면서 오는 6일 서울에서 열릴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들이 내놓을 한미 동맹 강화 방안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우리가 이미 독도를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만큼 차근차근 노력해나가면 국제사회는 물론 후대에도 인정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어 "애국하는 방법은 시대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며 "어떻게 하는 것이 진정 독도를 지키는 일인지 연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의 독도표기 원상복구라는 호재로 국정 운영에 자신감을 회복하는 모습이다. 청와대의 한 핵심 관계자는 "여러 가지 변화가 있었고 상황이 진전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문책만이 능사는 아니다"라며 "중요한 것은 재발이 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독도 표기 원상 회복으로 한미 간 갈등이 일단 해소된 만큼 대책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우선 5~6일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한국 답방을 계기로 실익을 챙기면서 양국 동맹을 강화하는 방안을 찾는 데 골몰하고 있다. 독도문제가 정상회담 정식 의제는 아니더라도 정상 간 환담 등에서 거론하며 독도에 대한 한국민의 특별한 정서를 충분히 전달하고 적극적인 지지를 이끌어낸다는 계획이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독도는 기본적으로 한일 양국의 문제라는 점에서 한미 간 정상회담에서 공식 의제로 삼는 것은 무리가 있다"면서도 "다만 환담이나 기자회견 자리 등에서 이 문제를 거론할 것은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이날 당정협의와 외교통상부 산하 독도 태스크포스 2차 회의를 잇따라 열고 독도 영유권 공고화 방안을 논의했다. 4일에는 총리실 산하 조원동 총리실 국정운영실장을 단장으로 한 정부합동 '독도영토관리대책단'의 첫 회의를 열 예정이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